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기준금리가 3.0%까지 오르며 내 집 마련에 있어 가계대출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실수요자 10명 중 7명은 이자 부담을 체감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14일 직방이 앱 이용자 94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부동산 매입 및 전세금, 임대료 마련을 위한 대출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중 41.4%(392명)가 대출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연령별로는 상대적으로 40대(47.6%)와 50대(45.6%)에서 대출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습니다.
대출을 받았다고 답한 392명을 대상으로 이자 부담이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어떠한가를 묻는 질문에는 70.7%가 '부담이 늘었다'고 응답했습니다. 26.0%는 '변동없다', 3.3%는 '줄었다'에 답변했습니다.

부담이 늘었다고 응답한 이들을 지역별로 살펴볼 경우 수도권 거주 수요자들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인천 거주자가 79.4%로 지역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서울이 78.5%로 뒤를 이었습니다. 경기 또한 70.4%가 '늘었다'에 응답하는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자 부담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동산 대출 금액은 '1억원~3억원 미만'이 42.9%로 가장 많았으며 ▲5천만원~1억원 미만(24.7%) ▲5천만원 미만(17.3%) ▲3억원~5억원 미만(9.9%) ▲5억원~7억원 미만(3.3%) ▲10억원 이상(1.3%) ▲7억원~10억원 미만(0.5%)이 뒤를 이었습니다. 3억원 미만으로 범위를 크게 구분할 경우 약 80%에 해당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대출 이자는 '3% 미만'이 21.7%로 가장 많은 가운데 ▲3.5~4% 미만(17.3%) ▲3~3.5% 미만(14.3%) ▲6% 이상(12.5%) ▲4~4.5% 미만(11.7%) ▲4.5~5% 미만(8.9%) ▲5~5.5% 미만(8.4%) ▲5.5~6% 미만(5.1%) 순으로 조사되며, 4% 미만에 해당하는 이들이 과반을 차지했습니다.
대출을 받은 가장 큰 목적을 묻는 질문에는 '거주 부동산 매입'에 54.3%의 응답률로 과반을 차지한 가운데 ▲전, 월세 보증금(37.5%) ▲투자 목적(6.6%) ▲기타(1.5%) 등에 응답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연령별로는 20~30대는 '전, 월세 보증금' 목적이 많았고, 40대 이상은 '거주 부동산 매입' 비중이 높았습니다.

아울러, 현재 대출이 없다고 답한 응답자 556명에게 올해 안에 부동산 관련 대출 계획이 있는지를 물은 질문에 과반인 56.5%가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연령별로는 20대(68.9%)와 30대(65.9%)에서 응답자의 60% 이상이 대출 계획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대출 계획이 있는 응답자 중 금리 형태는 '고정 금리형'을 선택하겠다는 응답이 69.1%로 가장 많았으며, 뒤를 이어 혼합형 18.8%, 변동 금리형 12.1%로 조사됐습니다. 직방 측은 금리 인상 우려로 인해 고정 금리형에 응답률이 많은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대출규제 완화와 연 이은 규제지역 해제에도 불구하고 금리 부담이 큰 만큼 거래에 나서는 수요는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다"며 "현재 대출은 거주 부동산 매입이나 전, 월세 보증금 마련을 통한 실 거주 목적이 다수인데 금리 인상 기조 속에서 당분간 거래시장은 투자 목적보다는 실 거주 위주로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