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Business General 비즈니스 일반

bhc그룹, 말레이시아·싱가포르 진출…해외 사업 가속화

URL복사

Tuesday, September 20, 2022, 10:09:24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으로 아시아 시장 타진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외식기업 bhc그룹(회장 박현종)은 해외 사업을 가속화한다고 20일 밝혔습니다.

 

bhc그룹은 bhc치킨, 창고43 등 그룹 내 외식 브랜드의 해외 진출을 위해 그동안 해외 시장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마스터 프랜차이즈 형태와 직접 매장을 운영하는 투 트랙 전략을 세웠습니다. 우선 bhc치킨은 오는 11월 말레이시아에 1호점을 오픈합니다.  

 

쿠알라룸푸르 내 고급 주택단지와 대형 쇼핑몰이 몰려있는 몽키아라 지역 종합 쇼핑몰에 입점하며 마스터 프랜차이즈 형태로 현지 대형 물류 회사가 운영합니다. 싱가포르 시장 개척에도 나섭니다. 최근 현지 대형 유통회사와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맺고 2023년 4월 1호점 개점이 목표입니다.

 

지난 2018년에는 홍콩을 테스트 시장으로 결정해 직영점인 ‘몽콕점’을 오픈한 이후 현재 홍콩에서만 매장 2곳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bhc치킨은 내년부터 말레이시아, 싱가포르를 거점으로 동남아시아와 중동으로 매장을 확대해 나간다는 전략입니다.

 

한우 전문점 창고43은 국내 주요 비즈니스 지역을 중심으로 매장을 확대해 왔으며, 추후 해외 진출을 통해 현지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글로벌 사업의 일환으로 미국 수제버거 브랜드 ‘슈퍼두퍼’는 다음달 서울 서초구 서초동 신논현역 부근에 1호점을 열 예정입니다.

 

bhc그룹 관계자는 "bhc치킨을 선두로 그룹 내 다양한 외식 브랜드를 해외시장에 진출시켜 한국의 음식과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것이 해외 진출의 궁극적인 목표"라며 "올 하반기부터 가시화될 해외 사업에 경영진과 임직원의 핵심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장승윤 기자 weightman@inthenews.co.kr

배너

대웅제약 펙수클루, 中 품목허가 획득…“2027년까지 100개국 확대”

대웅제약 펙수클루, 中 품목허가 획득…“2027년까지 100개국 확대”

2025.09.05 18:41:18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5일 밝혔습니다. 적응증은 역류성식도염 치료입니다. 시장조사기관 IMS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항궤양제 시장은 지난해 기준 약 3조 원 규모로 세계 최대 수준입니다. 특히 서구화된 식습관 변화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가 급증하면서 치료 수요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지난 2022년 출시한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 3세대 치료제로, 기존 PPI(프로톤 펌프 저해제)의 단점인 느린 약효 발현, 짧은 반감기, 식전 복용 제한을 개선했습니다. 긴 반감기로 ‘야간 속쓰림’ 개선에 강점을 보이며, 위산 역류에 따른 만성 기침 완화 효과까지 임상적으로 입증된 유일한 약물로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 대웅제약은 2026년 하반기 중국 발매를 목표로 현지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전략을 본격 전개할 방침입니다. 회사는 펙수클루가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펙수클루는 출시 3년 만에 국내외 연매출 1000억원을 돌파하며 블록버스터 의약품으로 자리잡았습니다. 현재 인도,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 필리핀 등 6개국에서 판매 중입니다. 중국, 파나마, 콜롬비아 등에서는 품목허가를 받고 발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전체 진출 국가는 30여 개국이며, 오는 2027년까지 100개국으로 확대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중국 품목허가는 펙수클루가 글로벌 블록버스터로 도약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세계 최대 항궤양제 시장인 중국에서 가장 신뢰받는 치료옵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