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BNK금융그룹(회장 빈대인)은 14일 정부의 생산적금융 정책에 발맞춰 ‘생산적금융협의회’를 출범하고, 부울경 지역형 생산적금융 확대를 위한 금융 대전환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생산적금융협의회’는 그룹 경영진이 참여하는 협의체로, 지역균형발전 정부정책과 BNK의 ‘부울경 지역형 생산적금융’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해 신설됐습니다.
협의회는 그룹 차원의 생산적금융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며, 내년 한 해 동안 생산적금융 20조원, 포용금융 1조원 등 총 21조원 규모의 자금을 공급할 계획입니다.
BNK금융은 동남투자공사 설립 및 해수부 부산 이전, 지역 공기업과의 협력 등 지역특화산업 육성에 집중하며, 특히 조선·해양·방산·데이터센터·항공·에너지 산업을 핵심 투자 분야로 지정하고, 국민성장펀드 및 캠코와 연계해 한계 산업의 고부가가치 전환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또한 AI와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투자처를 발굴하고, 투자심사 단계에 ‘투자생산성 지수’를 도입해 지역사회 경제유발 효과가 높은 사업에 투자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BNK투자증권, BNK자산운용, BNK벤처투자 등 비은행 계열사도 IPO·SPAC 상장 및 혁신펀드 조성을 통해 지역 기업과 창업·혁신기업 대상 투자를 활성화할 방침입니다.
BNK금융은 포용금융 대전환도 병행할 계획입니다. 금리와 상환방식을 고객이 직접 선택할 수 있는 맞춤형 상품을 도입하고, AI·데이터 분석을 활용해 청년 소상공인, 고령층, 서민금융 수요자 등 금융 취약계층을 선별 지원한다는 방침입니다.
또한 개인 및 개인사업자 재기 지원을 위한 부채 조정과 장기연체채권 조기 조정 등을 통해 제도권 금융 복귀를 돕는 방안도 마련했습니다.
BNK금융그룹 관계자는 “BNK의 지역금융 강점과 정부 정책을 연계해 차별화된 생산적금융 성공모델을 구축하겠다”며 “부울경이 지역균형발전의 중심축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그룹의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습니다.
BNK금융은 이미 기업금융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유지하고 있으며, 중소기업 대출 비중이 약 90%에 달합니다. 이번 ‘부울경 지역형 생산적금융’ 추진을 통해 지역특화 금융 전문그룹으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