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제20대 대통령 선거 전후로 아파트 가격 변동률이 두드러진 곳은 수도권 1기 신도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새 정부가 1기 신도시 재정비 특별법을 통한 용적률 상향 등 활성화를 약속하면서 이에 대한 기대감이 아파트 값에 반영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27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1기 신도시는 지난 3월 9일 대선 전까지 약 2개월 동안 0.07%의 상승폭이었으나 대선 이후 3월 10일부터 4월 22일까지는 0.26% 오르며 상승폭이 3배 이상 확대됐습니다. 같은 기간 서울(0.25%→0.08%), 경기(0.06%→0.03%) 아파트 가격 오름폭은 감소하며 대조를 나타났습니다.
1기 신도시 중 대선 이후 가장 많이 상승한 곳은 고양 일산신도시(0.52%)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어 ▲중동(0.29%) ▲분당(0.26%) ▲산본(0.14%) ▲평촌(0.12%) 순으로 오름폭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가구 당 평균가격 기준은 분당이 12억5000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평촌(8억7000만원) ▲일산(6억8000만원) ▲산본(5억7000만원) ▲중동(5억6000만원)이 뒤를 이었습니다.
1기 신도시 전체 재고 아파트 총 물량은 27만7760가구로 나타났으며, 신도시 별로 살펴보면 분당이 9만2327가구로 전체 물량 중 33%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일산(5만9509가구, 21%) ▲산본(4만2412가구, 15%) ▲평촌(4만1879가구, 15%) ▲중동(4만1633가구, 15%)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1기 신도시의 평균 용적률은 200% 수준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새 정부의 공약대로 300~500% 수준까지 용적률이 증가할 경우 재정비 이후 전체 아파트 물량은 40~50만 가구 정도가 늘어나 수도권 일대에 10~20만 가구의 아파트가 추가 공급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부동산R114 측의 설명입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1기 신도시 일대가 두드러진 상승세를 나타내면서 인수위에서 규제 완화의 속도 조절에 나서는 분위기"라며 "준공 30년이 넘어선 아파트에 대한 정밀안전진단 폐지 공약은 노후 아파트에 대한 과도한 투자 수요를 이끌 수 있어 전면 재검토에 들어간 모양새"라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대표적인 재건축 대못으로 꼽혔던 안전진단 절차 강화나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분양가상한제 등은 시장 현실에 맞게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며 "때문에 서울과 1기 신도시 노후 아파트를 중심으로 자산 가치에 대한 재평가 국면이 이어질 전망"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