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lumn 칼럼

[심리상담사 최옥찬의 MZ썰] ‘내일’ 인생의 성패를 개인에게 지우지 말라

URL복사

Sunday, April 24, 2022, 10:04:19

 

최옥찬 심리상담사ㅣ성경에 보면 이런 말이 있다. “내일 일은 걱정하지 마라. 내일 걱정은 내일에 맡겨라. 하루의 괴로움은 그날에 겪는 것만으로 족하다(마태복음. 공동번역)."

 

내일 걱정의 주체는 오늘의 '나'가 아니라 '내일'이다. 오늘을 사는 '나'가 통제할 수 없는 '내일'의 일로 마음의 괴로움을 더하게 하지 말자. 안타깝게도 상담실에서 만나는 많은 사람들이 내일, 모레, 더 먼 미래의 괴로움까지 미리 가지고 와서 오늘을 고통스럽게 산다. 그러다 보니 드라마 '내일'에서 오늘의 고통으로 내일을 포기하는 자살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자살을 생각한다는 것은 삶의 위기상황이기 때문에 자살예방센터 등의 심리적 도움을 꼭 받아야 한다.

 

최근 방영중인 MBC 금토드라마 '내일'(연출 김태윤·성치욱, 극본 박란·박자경·김유진)에서 죽은 사람들을 저승으로 인도하는 팀장인 박중길(이수혁 분)은 자살하려는 사람을 살리려는 구련(김희선 분)에게 이런 말을 한다.

 

"삶의 본질은 고통이야. 고통 속에서도 발버둥 치면서 나아가는 게 살아있는 인간의 숙명이라고."

 

사실 짜증이 날 정도로 인간의 실존을 참으로 정확하게 짚은 대사다. 삶의 편안과 행복을 추구하며 살아가는 평범한 우리들에게는 매우 거슬리는 말이니 말이다. 그런데 지금 현재 이곳저곳에서 들려오는 우울한 뉴스를 보고 있으면 그 누구도 아니라고 부정할 수가 없을 것이다. 특히 전쟁으로 처참한 상황에 있는 우크라이나 사람들에 대한 뉴스를 들으면 '인간의 삶은 고통이다'라는 말에 수긍할 수밖에 없다.

 

죽은 자를 인도하던 저승사자들이 죽고 싶은 사람들을 살린다는 내용을 담은 '내일'은 현재 MZ세대들이 겪는 삶의 단편을 보여준다. 양질의 일자리 취업의 어려움으로 어딘가에서 고통스러워하는 청년들의 삶이다.

 

코마 상태로 저승사자가 된 최준웅(로운 분)의 둘도 없는 친구인 남궁재수(류성록 분)가 경찰공무원 시험에 연속해서 떨어지고 방 안에 누워만 있다. 그는 씻지도 않고 전혀 먹지도 않은 듯 매우 초췌한 모습이다. 이 모습을 저승사자인 임륭구(윤지온 분)이 구련에게 전한다.

 

"아무것도 하고 있지 않습니다. 마치 시간이 멈춰 있는 것처럼. 집 밖으로도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내일을 마주하고 싶지 않은 사람들의 모습이다. 남궁재수는 실제로 이렇게 말한다. "내일이 오늘과 다르지 않은데 일 년 뒤는 다를까요. 끝나지 않는 시간의 숲에 갇힌 것 같아요." 

 

남궁재수는 죽은 사람과 다를 바 없는 시간을 맞이하고 있다. 그러니 실제로 죽으려고 한다. 몸은 살아 있는데 죽은 것과 다를 바 없는 생명력 없는 삶이 매우 고통스러우니까 말이다.

 

남궁재수가 내일을 포기한 순간 절친인 최준웅이 보낸 것으로 보이는 '실패는 다시 하란 뜻이야'라는 문자메시지를 받는다. 그리고 죽음의 방을 뛰쳐나간다. 그리고 최준웅이 코마 상태로 있는 병원에서 남궁재수는 최준웅과 다시 조우하고 울분을 토해낸다.

 

"내가 뭘 그리 잘못했는데. 왜 나는 안되는데. 매일매일 죽을 것 같이 살았어." 이 말을 듣고 최준웅은 자신의 삶을 기억하고 공감한다.

 

"나 혼자만 경로를 이탈한 기분. 나만 패배자 같고. 나 혼자만 멈춰 있는 기분"이라고 말이다. 남궁재수는 최준웅에게 외친다. "겨우겨우 버텼어. 근데 너도 없고. 이제 한계야." 그렇다. 인간은 내일을 포기하는 고통의 순간에도 한 사람만이라도 곁에 있으면 살아낼 수가 있다. 그런데 현재 남궁재수에게 최준웅이 없는 것이다. 이처럼 내 이야기를 들어주는 한 사람은 내 삶을 살아가도록 하는 큰 힘이다.

 

현재를 사는 MZ세대들의 삶에 대한 생각과 태도 즉, 세계관은 다 다를 것이다. 세계관은 자신의 삶을 어떻게 경험하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세계관이 어떠한가에 따라 삶의 고통을 더 경험하기도 하고 덜 느끼기도 한다. 그래서 세계관은 삶의 위기를 대처하는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어떠한 생각과 신념을 가지고 삶을 살아가는지가 중요하다. 자신의 삶에 대한 생각이 삶의 고통을 견디고 극복할 가능성을 키워준다.

 

MZ세대들은 무한 경쟁과 능력주의를 당연시하는 문화에 익숙하다. 이러한 문화에서는 사회구조 따위는 필요 없고 인생의 성패는 철저히 개인의 능력 탓이 된다. 이런 상황이다보니 MZ세대들이 매우 고통스러운 시간을 경험하고 있을 수가 있다. 고통스러운 상황이 모두 자신의 잘못처럼 느껴져서다. 너무 고통스러울 때는 아무리 옳은 말을 하는 사람이라도 만나지 말고 고통을 공감할 수 있는 사람만 만나라. 극중 최진웅처럼 말이다.

 

자살을 비난하는 저승사자들에게 최진웅은 이렇게 말한다. "아니요, 제가 봤을 때는 그저 웃으면서 평범하게 살고 싶은 사람들이었고요. 죽고 싶은 게 아니라 그렇게 살고 싶지 않았던 것뿐이거든요. 그러니까 아무것도 모르면서 그렇게 함부로 말씀하시지 마시라고요."

 

너무 죽고 싶을 때는 최진웅 같은 마음을 가지고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한 사람을 만나라. 그런 사람이 바로 떠오르지 않거나 당장 만날 수 없다면 스마트폰으로 자살 방법을 검색하지 말고 자살예방센터에 전화를 해라. 고귀한 생명에 대한 그 정도 수고로움은 꼭 해야 한다. 성경에 생명에 대한 이런 말이 있다.

 

"사람이 온 세상을 얻는다 해도 제 목숨을 잃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 사람의 목숨을 무엇과 바꾸겠느냐?(마태복음. 공동번역)" MZ세대가 꿈을 이루지 못해 너무 고통스러워 죽고 싶더라도 그 꿈이 온 세상을 얻는 것이 아니었다면 좌절된 꿈과 목숨은 절대 등가가 아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 최옥찬 심리상담사는

 

‘그 사람 참 못 됐다’라는 평가와 비난보다는 ‘그 사람 참 안 됐다’라는 이해와 공감을 직업으로 하는 심리상담사입니다. 내 마음이 취약해서 스트레스를 너무 잘 받다보니 힐링이 많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자주 드라마와 영화가 주는 재미와 감동을 찾아서 소비합니다. 그것을 바탕으로 우리의 마음에 대한 이야기를 공유하고 싶어서 글쓰기를 합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편집국 기자 itnno1@inthenews.co.kr

배너

[1분기 실적] KT&G, 영업익 2856억…전년비 20.7 ↑

[1분기 실적] KT&G, 영업익 2856억…전년비 20.7% ↑

2025.05.08 17:02:04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KT&G(사장 방경만)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85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7% 증가했다고 8일 공시했습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조4911억원으로 15.4% 증가했습니다. 본업인 담배사업부문은 해외사업의 고성장에 힘입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5.3% 증가한 9880억원, 영업이익은 22.4% 증가한 252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해외궐련사업은 주요 권역에서의 가격 인상과 판매량 확대로 인해 영업이익·매출·수량이 모두 증가하는 ‘트리플 성장’을 4개 분기 연속 달성했습니다. 그 결과 해외궐련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312.5% 급증하며 실적 성장을 견인했고 매출도 53.9% 증가한 4491억원을 기록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KT&G는 지난해 방경만 사장 취임 이후 현지 인프라 확장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지난 4월 카자흐스탄 신공장을 준공했으며 인도네시아 신공장은 내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 중입니다. ‘릴 하이브리드’를 앞세운 NGP사업은 국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했으며 KGC인삼공사가 영위하는 건강기능식품(건기식) 사업부문 매출은 1.9% 증가했습니다. 부동산사업부문은 개발사업 실적 반영으로 매출은 1004억원, 영업이익은 104억원을 기록해 전사 수익성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KT&G 관계자는 "환율 급등과 내수 침체 등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수익 중심의 본업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궐련 사업에 집중한 결과 매출과 영업이익 동반 성장을 이뤄냈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고 궐련 중심 사업에서 확장한 신제품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KT&G는 지난해부터 2027년까지 현금 배당과 자사주 매입 등 총 3조7000억원 규모의 현금 환원과 신규 매입한 자사주를 포함해 발행주식총수 20% 이상을 소각하는 밸류업 계획을 공개한 바 있습니다. 지난해 약 1조1000억원 규모의 현금 환원을 실행해 총주주환원율 100%를 달성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