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지난해 하반기 부동산 증여를 받은 수증인 수가 통계 집계 후 역대 두 번째로 낮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주택 가격의 상승으로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부담 등을 줄이기 위해 활발히 진행되던 증여가 감소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분석됩니다.
17일 부동산 플랫폼업체 직방이 대법원등기광장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7월부터 12월까지 전국 부동산 수증인 수는 총 14만 3954명으로 전년 동기 23만 3114명보다 약 38.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당 수치는 지난 2010년 통계 집계를 시작하며 최소치를 기록한 2014년 상반기 13만 7240명 이후 최저치입니다. 지난해 상반기(20만 5793명)와 비교했을 때도 30%가 감소했습니다.
연령별로는 40세 미만 3만 6901명, 40~59세 6만 9544명, 60세이상 3만 7503명으로 모든 연령대에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폭을 나타냈습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서 3만 7922명, 지방에서 10만 6032명으로 집계되며 각각 2020년 하반기(7만 6016명)보다 50.1%, 32.5%가 줄었습니다.
특히, 수도권 내 40세 미만 수증인은 1만 3466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5%가 줄어드는 두드러진 감소치를 나타냈습니다. 40~59세 또한 과반 이상인 50.6%가 감소한 1만 6732명으로 조사됐으며, 60세 이상은 41.6% 줄은 7724명으로 집계됐습니다.
부동산 업계는 40대 미만 수증인의 감소에 대해 부동산 증여를 계획하고 있던 보유자들이 자녀를 대상으로 증여를 마무리하는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와 종부세 부담을 줄이고자 증여가 활발히 이뤄졌으나 지난해 하반기 들어 이러한 추세가 줄어들었다”며 “40세 미만 청장년층 수증인이 가파르게 감소했는데 보유자들이 일정부분 증여를 마무리하는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습니다.
함 빅데이터랩장은 “올해 대선을 앞두고 부동산 규제에 대한 정책공약이 발표되고 있는 만큼 절세 등의 목적으로 증여가 다시 증가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