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대우조선해양(대표 이성근)은 시흥R&D캠퍼스에서 ‘잠수함 연료전지용 메탄올 수증기 개질(改質) 플랜트’ 인도식을 마무리했다고 24일 밝혔습니다.
이번에 대우조선해양이 인도한 플랜트는 ‘잠수함 연료전지용 메탄올 수증기 개질 기술’이 적용된 제품으로 메탄올과 물을 통해 고순도 수소를 생산하는 시스템입니다. 대우조선해양이 연료 개질 및 수소 정제 기술 분야에서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게 됐다는 평가입니다.
연료전지는 발전 효율이 높고 소음과 진동이 없으며, 전기 생산 후 물 외에 별도 이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 발전 장치입니다. 기존 내연기관을 대체할 차세대 동력원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잠수함 연료 개질 기술은 독일·프랑스·스페인 등 주요 에너지 선진국에서 연구개발에 공들여 온 첨단 기술입니다.
현재 잠수함 연료전지에 필요한 수소 공급은 일반적으로 금속수소저장합금 실린더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무게당 저장 효율이 낮고 장비 설치를 위한 공간이 확보돼야 한다는 점, 수소 충전을 위한 별도 부대설비가 필요하며 충전 시간이 길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됐습니다.
반면 메탄올을 활용한 연료 개질 방식은 저장 효율이 높아 잠항 운용 능력을 향상시킨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장비 설치에 공간 효율이 높고 연료 수급도 용이해집니다. 여기에 재충전을 위한 별도 설비이 필요 없고 충전 소요 기간도 짧습니다.
대우조선해양은 에이치앤파워, KTE 등 국내 업체들과 손잡고 국방과학연구소가 보유한 핵심기술인 메탄올 개질·수소 정제·열원 공급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 최초 고압형 메탄올 개질 플랜트를 제작했습니다. 이들은 지난 2018년 12월 시제품 제작 업체로 선정돼 제품개발에 전념해 왔습니다.
특히 대우조선해양은 시흥 R&D 캠퍼스 내 육상 실험 시설인 ‘친환경 연료LBTS’에 플랜트를 설치하고 안전성이 확보된 시험 환경을 조성해 성능 시험을 진행했습니다. 회사는 제어 콘솔과 가스 분석기 등 장비를 활용해 구성 장비에 대한 기능 및 성능 시험을 거쳐 최종 평가에 이르는 절차를 마무리했습니다.
최동규 대우조선해양 중앙연구원 원장(전무)은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대한민국 해군의 해양주권 수호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