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최근 미국 증시와 디커플링(비동조화) 양상을 보이며 약세를 이어가고 있는 코스피 지수가 2900포인트를 저점으로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경기악화 우려가 완화되고 있는데다 환율 흐름상 외국인의 ‘셀 코리아’가 잦아들 것이란 관측이다.
9일 하이투자증권은 코스피 지수가 지난 10월 초 지지한 전저점 2900포인트를 깰 확률은 낮다는 분석을 내놨다. 오히려 코스피 지수가 2900포인트까지 떨어진다면 달러/원 환율이 1200원까지 상승하면서 외인의 저점 매수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코스피 지수는 글로벌 지수의 강세에도 메타버스 등 일부 테마 종목을 제외하고 지수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
하이투자증권은 리오프닝으로 인한 코로나 관련 헬스케어 주식의 약세·대형 IPO종목의 부정적 영향 등을 원인으로 뽑았다. 그중에서도 최근 선물 매수를 감안해도 약 7000억 원 가량을 매도한 외국인의 ‘셀 코리아’ 경향이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이웅찬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달러화 강세·원화 약세가 나타나는 상황에서 유가 등 커머디티 가격이 하락하고 금리가 하락하며 소재·금융 위주의 하락세가 나타났다”며 “한국 수출입지표 부진과 헝다에 이은 자자오예 발 중국 크레딧 우려가 불거지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이 강한 매도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외국인의 매도세에도 불구하고 코스피 지수의 추가 하락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는 전망이다.
이 연구원은 “인플레이션 우려·중국발 공급 차질 문제 등이 있었던 10월 초보다 현 상황이 나쁘지 않다”며 “달러가 계속 강세로 가면 코스피에는 부담이지만 연준의 완화적인 모습, 미국 인프라 투자안 등이 달러화 가치에 미칠 영향을 살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과거부터 외인은 환율 1200원 이상에서 저가 매수세를 보였고 코로나 바이러스로부터의 회복이 가시화되고 있다”며 “지수 추가 하락 시 리오프닝(경기 재개) 수혜 업종 위수로 매수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