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셀트리온헬스케어(대표 김형기)는 유방암·위암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허쥬마’(성분명 트라스투주맙)가 지난 6월 일본에서 51%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습니다.
허쥬마가 일본 트라스투주맙 시장에 가장 먼저 출시된 퍼스트무버로서의 강점과 함께 전세계적인 처방 확대로 입증된 제품 신뢰성이 시장 내 1위 제품으로 등극하게 된 원동력이 됐다고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설명했습니다.
특히 지난 2019년 8월 일본 유방암 시장의 90%가 넘는 3주요법 적응증을 경쟁사보다 먼저 획득하면서 항암 치료 거점 병원에서 허쥬마가 처방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전략이 시장 선점 효과로 이어졌다는 분석입니다.

이와 함께 경쟁 바이오시밀러 제품들보다 뛰어난 의약품 공급 안전성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속에 큰 강점으로 부각되면서 일본 의료진들의 선호도가 높아졌다고 회사 측은 평가했습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일본 내 허쥬마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방문 환자 수가 감소하는 등 병원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DPC 제도(일본형 포괄수가제)에 포함된 허쥬마가 병원 수익 개선에 도움이 되는 만큼 처방 선호도가 더 높아질 것이라는 예상입니다.
일본 정부의 정책 변화 역시 허쥬마 확대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지목됩니다. 일본 정부는 올해 6월 발표한 ‘경제재정 운영과 개혁의 기본방침 2021’(호네부토 방침)에 바이오시밀러 사용 촉진 방안을 포함시키는 등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정부 차원의 우호 정책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습니다.
셀트리온헬스케어 관계자는 “일본에서의 성과를 비롯해 최근 발표된 브라질 허쥬마·‘트룩시마’ 입찰 수주 등 글로벌 전역으로 셀트리온그룹 의약품 영토가 확장되고 있다”며 “‘램시마SC’·‘유플라이마(성분명 아달리무맙)’ 등 후속 제품들도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