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정훈 기자ㅣ생명보험사의 실손의료보험(이하 실손보험)에 대한 외면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지난 24일 실손보험 판매 중지를 선언한 동양생명에 이어 ABL생명도 실손보험 판매를 중단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ABL생명(대표이사 시예저치앙)은 29일 오후 마케팅 회의를 열고 4세대 실손보험을 출시하지 않기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ABL생명도 실손보험 판매 중단을 결정하면서 국내 영업 중인 외국계 생보사 중 실손보험을 취급하는 회사는 사실상 없어졌습니다.
ABL생명 관계자는 “기존 실손보험의 적은 판매물량과 높은 손해율 등을 고려해 4세대 실손보험 출시를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며 “다만 기존 실손보험 가입 고객을 위한 전환용 4세대 실손보험은 운영할 예정이다”고 말했습니다.
보험사에서 판매하는 상품 중 실손보험은 손해율이 높은 대표적인 상품인데요. 지난해 보험사는 실손보험 판매로2조5000억원 규모의 손실을 기록했습니다. 올해는 1분기에만 7000억원의 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추산됩니다.
ABL생명은 판매할수록 손해가 높은 데다 계약 보유량(11만 4000건)도 적어 판매하지 않기로 결론 내린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번 ABL생명의 사업 철수로 실손보험을 취급하는 생명보험사는 ▲삼성생명 ▲교보생명 ▲한화생명 ▲NH농협생명 ▲흥국생명 등 5곳만 남게 됐습니다.
앞서 AIA생명·오렌지라이프·라이나생명 등은 2010년대 초반 일찌감치 판매를 중단했으며, 푸본현대생명·KDB생명·KB생명 등도 2019년 전후로 판매를 중단한 바 있습니다. 신한생명과 미래에셋생명, 동양생명도 실손보험과 절교를 선언했습니다.
손해보험업계는 보험사별로 행보가 달랐습니다. 손보사 10곳은 내달 1일부터 4세대 상품으로 전환할 예정인 가운데, 악사손해보험 등 3개사는 실손보험 판매를 중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