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권지영 기자] 학교 교육과정에서 위험관리와 보험관련 내용을 보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보험(상품)은 소비자가 위험을 보장받는 것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고 받는 서비스라는 것을 이해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변혜원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3일 중소기업중앙회 제2대회의실에서 열린 '보험이해력 향상을 위한 소비자 교육방안' 정책세미나에서 “학교 교육과정에 위험을 이해하고 대비할 수 있는 보험관련 내용의 보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변혜원 연구위원은 우선 소비자들에게 보험상품이 보장(서비스)하는 부분을 명확하게 인식시켜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소비자들이 보다 정확하게 위험을 대비할 수 있도록 현재 시행하고 있는 재무진단 서비스를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융감독원은 현재 홈페이지를 통해 위험관리를 비롯해 은퇴준비 등에 대한 간편재무진단 무료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로그인을 하고 재무관련 질문에 답을 하면 그에 맞는 재무진단 결과를 제시한다.
변 연구위원은 이 서비스에 대한 홍보와 진단결과의 도움말 제공형식을 개선하는 등 소비자가 쉽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개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현재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온라인 계산기를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통합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그는 보험사의 홈페이지도 지금보다 단순하게 개편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현재 홈페이지는 보험에 대한 너무 많은 양의 정보가 있어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게 사용하기 어려운 구조라는 것. 이에 변 연구위원은 기본적인 내용을 담은 핵심확인사항 또는 주요질문 목록으로 간편하게 제공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마지막으로 변 연구위원은 보험상품 가입 때 사용되는 상품설명서에 가입예시 등을 제공해 소비자가 상품판매자의 설명을 효과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보험상품 가입에서 판매자의 설명은 계약에 대한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소비자 이해력 강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