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기본 분류

[창간기획]③ 社名 가장 많이 바꾼 손보사는 어디?

URL복사

Wednesday, September 02, 2015, 06:09:02

KB손보·MG손보 5번으로 가장 많이 바꿔..현대·흥국·악사·AIG는 4번 변경


<글 싣는 순서>


②  ‘손해보험’ 다른 이름, 뭐 없을까 
③ 社名 가장 많이 바꾼 손보사는 어디?  
④  ‘보험사 이름 바꾸기’ 어렵지 않아요
⑤ 이름에 ‘보상 하나 추가’ 어떠세요?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우리나라 최초의 손해보험사인 조선화재(현 메리츠화재)는 1922년에 설립됐다. 이 후 1940~50년대에 많은 손보사가 탄생했고, 지금 우리나라에는 15개의 손보사가 있다.


보험사들은 최초 설립이 후 지금껏 평균 3번정도 회사명을 변경했다. 회사 합병 혹은 인수 이슈가 주된 변경 사유다. 또 해상 또는 화재 등의 손보사 업종이 추가·축소됐을 경우에 따라서도 이름이 바뀌었다. 그렇다면 손보사가 처음 생긴 지난 1922년부터 현재까지 이름을 가장 많이 바꾼 회사는 어디일까?


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존립하고 있는 손보사 중 KB손해보험과 MG손해보험이 회사명을 총 5번 변경해 가장 많이 바꿨다. 그 다음으로 현대해상과 흥국화재, 악사손해보험, AIG손보는 회사명을 4번 바꾼 것으로 확인됐다.



KB손해보험은 지난 1959년 범한해상화재보험으로 출발했다. 1988년 럭키화재해상보험과 1995년 LG화재해상보험을 거쳐 2006년 LIG손해보험으로 바뀌어 올해 상반기까지 이어갔다. 이후 KB금융그룹으로 편입되면서 지난 7월부터 KB손해보험으로 사명이 변경됐다.


MG손해보험은 1947년 국제손해재보험으로 시작해 1965년 국제화재해상보험으로 사명이 바뀌었다. 이 후 2002년 그린화재해상보험과 2008년 그린손해보험을 거쳐 2013년 MG손해보험으로 총 5번 바뀌어 영업하고 있다.


현대해상은 동방해상보험(1955년)에서 동방해상화재보험(1963년)으로 이름을 바꿨다가 1980년 동방화재해상보험으로 또 다시 개명했다. 1985년 현대해상화재보험으로 마지막으로 바뀐 후 지금까지 변동 없이 사용하고 있다.


흥국화재는 고려화재(1948년)로 출범했다. 1994년 쌍용화재해상보험, 2006년 흥국쌍용화재보험으로 영업하다가 2009년부터는 흥국화재해상보험으로 자리잡았다.


악사손보는 2001년 교보자동차보험에서 2007년과 2008년 각각 교보악사자동차보험과 교보악사손해보험으로 활동하다가 2009년 악사손해보험으로 변경됐다.


AIG손보는 1954년 우리나라에 아메리칸 인터내셔널 언더라이터스 코포레이션이란 이름으로 사무소를 개설했고, 2000년 AIG손보로 바뀌었다. 이 후 2012년 차티스손해보험으로 잠시 변경됐고, 2013년 AIG손해보험이란 이름으로 다시 돌아왔다.


회사명을 3번 바꾼 보험사가 가장 많았다. 삼성화재를 비롯해 동부화재, 메리츠화재, 한화손보, 에이스손보, 코리안리가 창립 이후 이름을 3번 변경했다.


삼성화재는 한국안보화재해상재보험(1952년)에서 안국화재해상보험(1958년)을 거쳐 삼성화재해상보험(1993년)으로 안착했다. 동부화재 한국자동차보험공영사(1962년)으로 출발해 한국자동차보험(1968년)을 지나 1995년 동부화재해상보험으로 바뀌었다.


메리츠화재는 1922년 우리나라 최초의 손보사인 조선화재해상보험이 전신이며, 1950년 동양화재해상보험으로 영업하다가 2005년 메리츠화재해상보험으로 변경됐다. 한화손보 역시 1946년 신동아화재보험으로 출발해 1968년 신동아화재해상보험을 거쳐 2007년 한화손해보험으로 영업하고 있다.


에이스손보는 1968년 하트포드화재보험으로 우리나라에 처음 입성해 1985년 씨그나화재해상보험으로 이름을 변경했다가 1999년부터는 에이스아메리칸화재해상보험으로 영업하고 있다. 유일한 재보험사인 코리안리는 대한손해재보험공사(1963년)으로 시작해 대한재보험(1978년)으로 바뀌었고, 2002년 코리안리로 사명이 최종 변경됐다.


이밖에 롯데손보는 1946년 대한화재해상보험에서 2008년 롯데손해보험으로 2번 바뀌었다. The-K손보도 2003년 교원나라자동차보험으로 시작해 2008년 The-K손해보험으로 영업하고 있다. 농협손보는 2012년부터 NH농협손해보험으로 출범해 손보사 중에서 유일하게 사명변경 사례가 없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권지영 기자 eileenkwon@inthenews.co.kr

배너

삼성전자, ‘으뜸가전사업’ 동참으로 가전제품 매출 20 이상 증가

삼성전자, ‘으뜸가전사업’ 동참으로 가전제품 매출 20% 이상 증가

2025.09.30 09:27:25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삼성전자[005930]는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가전제품의 판매가 정부의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이하 으뜸가전사업)'에 동참한 지난 2개월간 전년 동기 대비 약 20% 증가했다고 30일 밝혔습니다. '으뜸가전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 총괄, 한국에너지공단 주관으로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가전제품을 구매할 경우 구매 금액의 10%, 1인당 최대 30만원까지 환급해 주는 사업입니다. 삼성전자는 으뜸가전사업에 맞춰 에너지를 절감하는 AI 기능을 갖춘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가전을 선보이는 한편, 으뜸가전사업에 대한 고객 안내를 강화하고 다양한 구매 혜택도 제공해 왔습니다. 최대 30만원의 정부 환급 혜택과 삼성전자가 제공하는 최대 10% 삼성전자 멤버십 포인트 등 구매 혜택에 더해 고효율 가전 구매로 인한 실질적인 전기료 절감 효과가 소비자 수요를 이끌어 낸 것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에어컨·세탁기·냉장고는 기본 성능은 물론 에너지 효율을 높여주는 AI 기능을 갖춰 전기료 절감을 중시하는 소비자 호응을 받았습니다. 고효율 에어컨과 세탁기 판매는 전년보다 20% 이상 늘어났으며 냉장고 판매도 15% 이상 상승했습니다. 이에 7~8월 두 달간 전체 삼성전자 가전 판매 중 '에너지소비효율1등급' 가전 매출이 약 40%를 차지했습니다. 삼성전자 '비스포크 AI 무풍콤보 갤러리' 에어컨은 무풍 모드 사용 시 소비 전력을 최대 90%까지 절약할 수 있고 기존 제습 기능 대비 에너지 사용량을 최대 30%까지 절전해 주는 '쾌적 제습' 기능을 지원합니다. 일체형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 세탁건조기는 세탁물 1kg 세탁 시 소비전력량이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최저 기준보다 45% 더 낮으며 'AI 절약모드'로 세탁 시 최대 60%, 건조 시 최대 30%까지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냉장고 모델인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키친핏 맥스' 냉장고에는 'AI 하이브리드 쿨링' 기능이 탑재되어 냉각 효율을 높였습니다. 'AI 하이브리드 쿨링'은 사용 환경을 감지해 상황에 따라 최적의 효율을 내는 냉각 방식으로 에너지를 절약해 줍니다. 김용훈 삼성전자 한국총괄 상무는 "에너지소비효율1등급 제품 중에서도 'AI 가전 3대장'이 높은 에너지효율과 AI 기능을 모두 갖춰 소비자들로부터 큰 인기를 얻어 판매를 견인했다"라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