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기본 분류

[창간기획]③ 社名 가장 많이 바꾼 손보사는 어디?

URL복사

Wednesday, September 02, 2015, 06:09:02

KB손보·MG손보 5번으로 가장 많이 바꿔..현대·흥국·악사·AIG는 4번 변경


<글 싣는 순서>


②  ‘손해보험’ 다른 이름, 뭐 없을까 
③ 社名 가장 많이 바꾼 손보사는 어디?  
④  ‘보험사 이름 바꾸기’ 어렵지 않아요
⑤ 이름에 ‘보상 하나 추가’ 어떠세요?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우리나라 최초의 손해보험사인 조선화재(현 메리츠화재)는 1922년에 설립됐다. 이 후 1940~50년대에 많은 손보사가 탄생했고, 지금 우리나라에는 15개의 손보사가 있다.


보험사들은 최초 설립이 후 지금껏 평균 3번정도 회사명을 변경했다. 회사 합병 혹은 인수 이슈가 주된 변경 사유다. 또 해상 또는 화재 등의 손보사 업종이 추가·축소됐을 경우에 따라서도 이름이 바뀌었다. 그렇다면 손보사가 처음 생긴 지난 1922년부터 현재까지 이름을 가장 많이 바꾼 회사는 어디일까?


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존립하고 있는 손보사 중 KB손해보험과 MG손해보험이 회사명을 총 5번 변경해 가장 많이 바꿨다. 그 다음으로 현대해상과 흥국화재, 악사손해보험, AIG손보는 회사명을 4번 바꾼 것으로 확인됐다.



KB손해보험은 지난 1959년 범한해상화재보험으로 출발했다. 1988년 럭키화재해상보험과 1995년 LG화재해상보험을 거쳐 2006년 LIG손해보험으로 바뀌어 올해 상반기까지 이어갔다. 이후 KB금융그룹으로 편입되면서 지난 7월부터 KB손해보험으로 사명이 변경됐다.


MG손해보험은 1947년 국제손해재보험으로 시작해 1965년 국제화재해상보험으로 사명이 바뀌었다. 이 후 2002년 그린화재해상보험과 2008년 그린손해보험을 거쳐 2013년 MG손해보험으로 총 5번 바뀌어 영업하고 있다.


현대해상은 동방해상보험(1955년)에서 동방해상화재보험(1963년)으로 이름을 바꿨다가 1980년 동방화재해상보험으로 또 다시 개명했다. 1985년 현대해상화재보험으로 마지막으로 바뀐 후 지금까지 변동 없이 사용하고 있다.


흥국화재는 고려화재(1948년)로 출범했다. 1994년 쌍용화재해상보험, 2006년 흥국쌍용화재보험으로 영업하다가 2009년부터는 흥국화재해상보험으로 자리잡았다.


악사손보는 2001년 교보자동차보험에서 2007년과 2008년 각각 교보악사자동차보험과 교보악사손해보험으로 활동하다가 2009년 악사손해보험으로 변경됐다.


AIG손보는 1954년 우리나라에 아메리칸 인터내셔널 언더라이터스 코포레이션이란 이름으로 사무소를 개설했고, 2000년 AIG손보로 바뀌었다. 이 후 2012년 차티스손해보험으로 잠시 변경됐고, 2013년 AIG손해보험이란 이름으로 다시 돌아왔다.


회사명을 3번 바꾼 보험사가 가장 많았다. 삼성화재를 비롯해 동부화재, 메리츠화재, 한화손보, 에이스손보, 코리안리가 창립 이후 이름을 3번 변경했다.


삼성화재는 한국안보화재해상재보험(1952년)에서 안국화재해상보험(1958년)을 거쳐 삼성화재해상보험(1993년)으로 안착했다. 동부화재 한국자동차보험공영사(1962년)으로 출발해 한국자동차보험(1968년)을 지나 1995년 동부화재해상보험으로 바뀌었다.


메리츠화재는 1922년 우리나라 최초의 손보사인 조선화재해상보험이 전신이며, 1950년 동양화재해상보험으로 영업하다가 2005년 메리츠화재해상보험으로 변경됐다. 한화손보 역시 1946년 신동아화재보험으로 출발해 1968년 신동아화재해상보험을 거쳐 2007년 한화손해보험으로 영업하고 있다.


에이스손보는 1968년 하트포드화재보험으로 우리나라에 처음 입성해 1985년 씨그나화재해상보험으로 이름을 변경했다가 1999년부터는 에이스아메리칸화재해상보험으로 영업하고 있다. 유일한 재보험사인 코리안리는 대한손해재보험공사(1963년)으로 시작해 대한재보험(1978년)으로 바뀌었고, 2002년 코리안리로 사명이 최종 변경됐다.


이밖에 롯데손보는 1946년 대한화재해상보험에서 2008년 롯데손해보험으로 2번 바뀌었다. The-K손보도 2003년 교원나라자동차보험으로 시작해 2008년 The-K손해보험으로 영업하고 있다. 농협손보는 2012년부터 NH농협손해보험으로 출범해 손보사 중에서 유일하게 사명변경 사례가 없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권지영 기자 eileenkwon@inthenews.co.kr

배너

한화생명, 피치 신용등급 ‘A’에서 ‘A+’로 올라

한화생명, 피치 신용등급 ‘A’에서 ‘A+’로 올라

2025.05.10 19:33:01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한화생명(대표이사 여승주 부회장)이 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Fitch Ratings)로부터 신용등급 'A+'를 받았습니다. 새 회계기준 IFRS17 도입 이후 지속적인 수익성(ROE) 개선, 안정적인 재무건전성, 높은 수준의 리스크관리 역량을 높이 평가해 종전 'A'에서 등급을 상향한 것입니다. 한화생명은 "향후에도 중장기적으로 재무건전성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해 등급을 'A/긍정적(Positive)'에서 'A+/안정적(Stable)'으로 상향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피치는 한화생명의 수익성 높은 보장성 중심 포트폴리오 구축이 수익성·자본건전성 강화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 판매자회사 한화생명금융서비스의 채널경쟁력(보험설계사 3만1000여명), 우수한 브랜드 이미지를 바탕으로 한 판매조직의 안정성이 높다고 평가합니다. 해외사업 확대추진 전략도 좋은 평가를 얻었습니다. 투자리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면서 향후 금리인하 가능성에 대비한 장기채 중심의 자산 리밸런싱, 자산과 부채의 듀레이션 갭 축소 등 적극적인 자산·부채관리(ALM)도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한화생명은 지난해 보험영업 근간인 조직규모를 확대하고 고객서비스·영업·상품 등 모든 영역에서 AI 기술과 같은 디지털 혁신으로 경쟁력을 강화한 결과 연결기준 866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습니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피치의 등급상향은 안정적인 재무기반과 수익성, 중장기적 자산·부채 관리전략이 시장에서 신뢰를 얻고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며 "보험계약자와 국내외 투자자의 대외신뢰도 제고효과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