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유은실 기자ㅣ주요 보험사의 올해 실손의료보험(실손보험) 인상률이 최고 19.6%로 확정됐습니다. 올해 인상률은 최근 5년간 최고 수준인데요. 주요 보험사 중엔 삼성화재가, 전체 보험사에서는 롯데손해보험의 인상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8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소속 고용진 의원에게 금융위원회가 제출한 자료를 보면 손해보험 주요 4사의 실손보험 인상률이 상품유형에 따라 평균 11.9∼19.6%로 파악됐습니다.
지난 2009년 9월까지 팔린 구(舊)실손보험이 각사 평균 17.5∼19.6%, 이후 2017년 3월까지 팔린 표준화실손보험이 각사 평균 11.9∼13.9% 각각 인상했습니다. 2017년 4월 이후 팔린 신(新)실손보험은 생·손보사 모두 보험료를 동결했습니다.
삼성화재, 현대해상, KB손해보험, DB손해보험 등 4개 주요 손보사 중 삼성화재의 구실손 인상률이 19.6%로 가장 높았습니다.
3개 주요 생명보험사인 삼성·한화·교보생명은 구실손보험을 평균 8∼18.5%, 표준화실손보험을 평균 9.8∼12.0% 각각 올렸습니다. 이 가운데 구실손 인상률이 가장 높은 곳은 삼성생명입니다.
중소 보험사까지 통틀어 20% 넘는 인상률을 적용한 곳은 롯데손해보험으로 구실손과 표준화실손을 각각 평균 21.2%와 평균 23.9% 인상했습니다. 롯데손보는 금융당국과 경영개선협약을 체결했기 때문에 한 해 인상률 상한선 25%를 넘길 수 있습니다.
경영개선협약에 따라 작년에 50%대 인상률을 적용한 한화손해보험은 지난해 경영실적이 크게 개선되며 올해 구실손과 표준화실손 보험료 인상률을 각각 6.8%와 8.2%로 결정했습니다.
올해 실손보험료 인상률은 최근 5년간 최고 수준입니다. 작년 상반기 구실손과 표준화실손의 위험손해율이 각각 143%와 132%를 기록해 큰 적자가 났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위험손해율이란 계약자가 납입한 보험료에서 사업운영비를 제외한 위험보험료 대비 보험금 지급액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가입자는 3∼5년 갱신 주기가 돌아올 때마다 실제 인상이 단행되므로 체감 인상률이 대체로 50%가 넘고 고령자의 경우에는 2∼3배가 오른 고지서를 받은 경우도 다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