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lumn 칼럼

[김영욱의 디지로그DigiLog] 토이저러스Toys “R” Us의 몰락(1)

URL복사

Friday, January 08, 2021, 08:01:00

장난감 왕국을 추억하며… 장난감은 이제 사라질까?

아이들에게 있어(물론 요즘에는 어른들도 포함해서) 놀이를 즐기는 대상으로 아날로그 진영에는 장난감이 디지털의 진영에는 게임기가 존재합니다. 물리적인 아날로그 장난감에는 로보트, 인형, 자동차, 비행기 조립식블럭과 같은 것들이 그 반대편의 디지털 장난감에는 가정용 게임기와 PC게임 그리고 스마트폰 등이 존재하죠.

 

지금은 디즈니(Disney)로 넘어간 픽사(Pixar)의 1995년도 3D 애니메이션 영화 ‘토이스토리(Toy Story)’는 한물간 장난감들의 활약을 담은 이야기입니다. 아마도 과거를 추억하는 미국 베이비부머 세대와 그 이후 세대들의 향수를 가득 담은 영화로 전세계적으로 흥행을 했던 영화였죠. 2019년 4편을 마지막으로 작별을 고했으니 25년간의 스토리였습니다.

 

이제는 장난감 박스에 담겨 먼지만 쌓여가는 카우보이 ‘우디 프라이드(Woody Pride)’와 우주특공대원 ‘버즈 라이트이어(Buzz Lightyear)’ 그리고 그의 연인이자 우디의 직장동료(?)인 ‘제시(Jessie)’, 도자기로 구워진 양치기 아가씨이자 우디의 연인인 ‘보 핍(Bo Peep)’을 주축으로 수많은 장난감들이 등장합니다.

 

 

우디와 버즈를 비롯한 장난감들은 이제는 성장한, 그래서 자신들이 필요없어진, 어릴적 주인을 찾아 모험을 떠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우정과 사랑 그리고 순수함 등을 전하는 어른을 위한 만화라는 표현이 어울리는 영화였습니다. 

 

이 영화속에서 장난감은 어린 시절 시간을 함께 나눈 사물 그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때론 친구이고, 부모님이며, 형제의 위치에 장난감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나이 든 어른들에겐 그리고 변해버린 시대의 새로운 아이들에게는 너무 ‘올드’한 존재가 되어버리죠.

 

현재 스마트폰과 전자게임기에 밀려버린 장난감들의 운명을 예감한 듯한 이야기여서 느낌이 새삼스럽긴 합니다. 

 

그래서인지 2017년 9월 장난감 왕국 ‘토이저러스(Toys “R” Us)’의 파산신청 소식은 꽤나 드라마틱한 장면이었습니다. 이와 관련된 기사를 접한 한 지인은 ‘장난감의 몰락’이라고 표현을 하더군요. 사실 모든 아기들이 스마트폰을 보여주면 울음을 멈추고, 부산스럽게 장난치던 아이들이 전자게임기에 얌전해지는 시대에 장난감은 그리 매력적이지 않은 게 사실입니다.

 

그렇게 2017년이 지난 현재, 토이저러스라는 거대 장난감 왕국의 몰락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레고와 바비 인형, 그리고 건프라와 수많은 장난감은 여전히 건재합니다. 거기에 2019년 11월에는 팝업스토어 형태이긴 하지만 뉴욕에 토이저러스 스토어가 다시 개장하기도 했습니다.

 

 

토이저러스는 주식회사 ‘트루 키즈(Tru Kids, Inc.)’ 및 여러 회사가 소유한 세계적인 장난감 회사였습니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48년, 참전 군인이었던 ‘찰스 P. 라저러스(Charles Philip Lazarus)’는 미국의 워싱턴 D.C.에 토이저러스의 전신인 어린이용 가구 매장 ‘Children’s Bargain Town’를 열었습니다.

 

당시 미국은 전후 베이비붐을 타고 어린이 관련 용품이 잘 팔리던 시기였죠. 1957년 6월 라저러스는 영어로 장난감을 뜻하는 ‘Toy’와 자신의 이름 ‘La Zarus’을 합하여 그의 두번째 가게인 Toys “R” Us를 설립합니다. 장난감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순간이었죠. 

 

이 회사는 65년 이상 장난감 사업을 이끌며 꾸준히 성장해 미국에서 약 800개, 미국 외 지역에서 약 800개 매장을 운영하는 거대기업이 됩니다. ‘장난감 = 토이저러스’라는 표현이 너무도 자연스럽게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장난감 제국의 영토는 꾸준히 감소하게 됩니다. 온라인 소매 업체(아마존 Amazon)뿐 아니라 대량 판매 업체(월마트 Wall Mart)의 부상으로 토이저러스는 장난감 시장에서 점유율을 잃기 시작합니다.

 

결국 2017년 9월 18일 미국 토이저러스 본사는 버지니아주 리치몬드 파산법원에 파산보호를 신청했고, 영국 사업장은 2018년 2월 파산관리에 들어가게 됩니다. 2018년 3월 회사는 미국 및 영국 매장을 모두 폐쇄하겠다고 발표합니다. 

 

영국 지점은 같은 해 4월, 미국 지점은 6월에 문을 닫았습니다. 토이저러스의 호주 법인은 5월 22일 자진 행정에 들어갔고 2018년 8월 5일에 모든 매장을 폐쇄했습니다. 

 

아시아 및 아프리카와 같은 다른 국제 시장에서의 운영은 영향을 덜 받았지만 캐나다, 유럽 일부 및 아시아는 결국 제3자에게 매각되었습니다.

 

이렇게 토이저러스는 장난감 왕국으로서의 긴 역사를 마감합니다. 당시 모두는 이제 장난감은 역사에 마지막을 고하는 듯 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김영욱 기자 leo_kim@inthenews.co.kr

배너

SK-오픈AI, 메모리·AI DC 초대형 합작…K-AI 구축 가속화

SK-오픈AI, 메모리·AI DC 초대형 합작…K-AI 구축 가속화

2025.10.01 20:20:20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SK그룹이 오픈AI와 메모리반도체 공급과 서남권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DC) 설립·운영 등에 관한 파트너십을 맺고 글로벌 AI 인프라 구축에 본격 참여합니다. 반도체 공급부터 데이터센터 설계·운영, AI 서비스 확산까지 아우르는 전방위 협력을 통해 차세대 AI 인프라 혁신을 이끈다는 전략입니다. SK그룹은 최태원 회장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등 양사 경영진들이 1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만나 메모리 공급 의향서(LOI)와 서남권 AI DC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최태원 회장은 이번 협력에 대해 “글로벌 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SK가 핵심 파트너로 참여하게 됐다”며 “메모리반도체부터 데이터센터까지 아우르는 SK의 통합 AI 인프라 역량을 이번 파트너십에 집중해 글로벌 AI 인프라 혁신과 대한민국의 국가 AI 경쟁력 강화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SK하이닉스, 월 90만장 웨이퍼 소요되는 오픈AI 반도체 수요 대응 SK하이닉스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서 고대역폭메모리(HBM) 반도체 공급 파트너로 참여합니다. 이번 메모리 공급 의향서 체결은 올해 상반기 기준 D램 글로벌 매출 1위인 SK하이닉스의 AI 전용 메모리반도체 기술력과 공급 역량을 인정받은 결과라고 SK는 설명했습니다. 이에 SK하이닉스는 D램 웨이퍼 기준 월 최대 90만장 규모의 HBM 공급 요청에 적기 대응할 수 있는 생산 체제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오픈AI의 HBM 공급 요청은 웨이퍼 기준으로 현재 전세계 HBM 생산 능력의 2배가 넘는 수준입니다. SK하이닉스는 이번 협력을 통해 오픈AI의 AI 가속기(GPU) 확보 전략 실현을 적극 협력하고, 양사 간 협업 역시 지속 확장키로 했습니다. SKT, 서남권에 ‘한국형 스타게이트’…K-AI 구축 드라이브 SK텔레콤은 대규모 DC구축·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오픈AI와 양해각서(MOU)를 체결, 한국 서남권에 오픈AI 전용 AI DC를 공동 구축해 ‘한국형 스타게이트’를 실현한다는 계획입니다. 양사 협력은 AI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B2C·B2B AI 활용 사례를 발굴하고, 나아가 차세대 컴퓨팅과 데이터센터 솔루션의 시범 운용까지 포함합니다.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통신·전력인프라와 반도체 기술, 풍부한 AI 수요를 바탕으로 글로벌 AI 혁신의 테스트 베드 역할을 합니다. SK 관계자는 “AI DC 협력은 SK그룹과 글로벌 1위 AI 기업인 오픈 AI가 대한민국 AI 대전환을 위한 강력한 파트너십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서남권 AI DC는 아시아 지역 AI DC 허브로 자리매김해 지속가능한 협력을 이끌어내는 기반이 될 것이고 SK그룹이 추진 중인 ‘SK AI 데이터센터 울산’과 함께 동서를 연결하는 AI 벨트를 구축해 지역 균형발전에 기여하고 대한민국 전역의 AI 대전환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미 AI 경제 동맹 발판 기대…“AI 3대 강국 디딤돌 될 것” SK그룹은 이번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참여는 한미 간 AI 경제동맹을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제조와 통신 영역에서 강점을 가진 대한민국과 AI 기술의 선두 주자인 미국 간의 협력모델이 상호 보완 및 글로벌 AI 리더십 동맹의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최태원 회장과 샘 올트먼 CEO는 2023년부터 긴밀히 협력하며 AI 인프라의 미래를 함께 설계했습니다. 양측은 AI 학습과 추론에 필요한 워크로드 폭증에 대비해 전용 반도체 개발과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에 깊이 공감하며, 하드웨어 병목 없는 차세대 AI 모델 개발을 위한 새로운 메모리-컴퓨팅 아키텍처 등 혁신적 AI 인프라 공동 개발을 논의해 왔습니다. 이번 파트너십 체결은 칩 개발부터 데이터센터 구축·운영까지 전 주기에 걸친 기술 혁신 협력의 본격적 출발점으로, 글로벌 AI 생태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SK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SK그룹은 AI를 새로운 성장축으로 삼아 사업 포트폴리오를 혁신 중이며, 올해 8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기공식을 여는 등 글로벌 빅테크와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SK 관계자는 “글로벌 AI 대전환 시기를 맞아 핵심 플레이어로서 시장 참여를 확대할 수 있도록 빅테크 협력과 관련 투자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K-AI 생태계 확장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