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박경보 기자ㅣ한국증시가 미국의 재정 정책에 대한 기대감과 연휴 중 발표된 양호한 수출 실적을 바탕으로 상승했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 판매 회복세를 보인 현대·기아차가 상승세를 이끌었다는 평가다.
박수민 신영증권 연구원은 6일 시황 보고서를 내고 “전날 코스피는 1.29%, 코스닥은 1.21% 상승했다”며 “9월 미국 자동차 시장의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면서 전반적인 자동차 수요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박 연구원은 “현대차의 경우 전체 시장의 판매량 대비 낮은 증가율을 나타냈으나 기아차는 시장 판매량 증가율을 훌쩍 뛰어넘었다”며 “장 종료 이후에 발표된 완성차 내수 판매 실적도 전년 동기 대비 20% 이상 급증하는 등 자동차 종목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이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철강 종목 또한 만만치 않은 상승률을 기록했다”며 “철강은 코로나19에 따른 수요 감소, 원자재 가격 인상 등 어려운 상반기를 보냈으나, 최근 수요 회복 및 가격 인상 등으로 3분기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같은 날 미국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조기퇴원 소식과 추가적인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돼 지난주 후반의 부진을 만회했다. S&P500은 1.8% 상승했고, 나스닥도 2.32% 올랐다. 종목별로는 큰 폭의 조정을 받았던 커뮤니케이션서비스와 기술주가 각각 2.3%씩 상승했고, 에너지주도 크게 올랐다.




![[APEC 2025] 삼성전자·엔비디아, 업계 최고 수준 ‘반도체 AI 팩토리’ 구축한다](https://www.inthenews.co.kr/data/cache/public/photos/20251044/art_1761880795163_994a46_357x250.jpg)
![[APEC 2025] SK, 엔비디아와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제조 AX 선도”](https://www.inthenews.co.kr/data/cache/public/photos/20251044/art_17618965006669_c0134a_120x90.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