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lumn 칼럼

[김영욱의 디지로그DigiLog] 21세기 어른이 쇼핑몰에서 만난 축음기(2)

URL복사

Saturday, March 07, 2020, 06:03:00

ON과 OFF의 중간쯤, 잡음Noise을 만날 자유

 

이탈리아계 자동차 회사인 마세라티Maserati에서는 사운드 디자이너가 유명하다고 합니다. 처음 들었을 때 차량내 오디오와 스피커를 담당하는 디자이너라고 생각했는데 놀랍게도 엔진소리와 배기음 및 기타 잡음을 담당하는 사람이더군요.

 

특히 전기차의 경우 엔진소리가 들리지 않기 때문에 각종 엔진음을 작곡(?)해서 넣는다고 하네요. 과거에는 잡음Noise라고 부르며 어떻게든 없애려 했던 소리를 오히려 만들어서 사용하는 시대입니다.

 

“오래 전에 멀리 떨어진 은하계에서A long time ago in a galaxy far, far away…."가 아니라, 그렇게 멀지 않은 과거에는 TV나 세탁기, 또는 자동차 같은 기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말썽을 부리면 “(기계를) 세게 두드려봐! 한 대 쳐봐!” 같은 말을 쉽게 했습니다.

 

잡음이 심한 휴대용 오디오나 라디오를 칵테일 쉐이커처럼 흔든다거나, 무지개색 주사선이 화면 속에 움직이는 TV나 컴퓨터 모니터의 윗면을 손바닥으로 두드린다거나, 엔진에서 괴이한 소리를 내뿜는 자동차를 발로 툭툭 차다보면 놀랍게도 다시 작동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 마치 고집스러운 5살 꼬마아이처럼 말을 안 듣는 기계들이 의외로 많았고, 대화가 통하지 않는 기계를 대하는 인간의 입장에서는 기계의 겉면을 두드리며 호소하는 방법 밖에는 없었습니다. —

 

“이봐! 오늘은 뭐가 문제야?! 제발 작동해 달라고!” 쾅쾅쾅!

 

지금 저렇게 기계를 두드리면 어머니가 여러분의 등짝을 스매싱할 지 모릅니다. 다시 작동할 가능성이 10% 도 안 되죠. 이유는 과거의 기계들은 아날로그 방식으로 작동을 했고, 현재의 기계들은 대부분 디지털에 의해 제어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 하아~ 정말 무슨 신석기 시대에 고대사를 설명하는 기분이 드네요. —

 

 

어쨌건 음악을 바이닐로 들으면 꼭 잡음이 섞여서 나옵니다. ‘지지직 지익 지직 지지지직’ 같은 소리인데 축음기의 바늘이 바이닐의 홈을 지나면서 생기는 마찰음입니다. 본래는 음악만 나와야하지만 홈 사이에 먼지가 끼면 원래의 음이 아닌 잡음이 생기는 거죠.

 

요즘 기기는 이런 잡음을 소프르웨어적으로 제거해서 깨끗한 소리만을 들려주기도 합니다. 또 입력은 아날로그로 되었지만 출력이 블루투스 스피커 등을 통해 재생되면 역시 디지털화 되면서 소리가 변환되기도 합니다.

 

디지털의 장점은 100번, 1000번, 10000번, 수 십 만 번을 재생해도 동일한 음색을 유지한다는 것입니다. 동일한 값이 유지되지 않으면 파일이 깨졌다는 의미이며 재생 차체가 안 되는 것이 정상이죠.

 

하지만 아날로그는 바이닐 자체가 휘거나, 홈 자체가 무뎌지거나, 축음기 모터가 느려지거나, 음악을 나오게 하는 바늘이 닳거나 하는 여러가지 물리적인 변수에 의해 100번을 들으면 100번 다 다른 음악을 연주하게 됩니다. — 물론 이론적으로 이렇지만 그걸 우리가 구분하기는 힘듭니다. — 심지어는 날씨에 따라서도 다르게 들리니 어떻게 보면 기기 자체가 제멋대로 연주를 하고 있는 셈이죠. 게다가 아날로그인 축음기는 ‘음악을 듣지만 듣지않는 상태’를 종종 연출하기도 합니다.

 

 

‘음악을 듣지만 듣지 않는 상태’란 이런 겁니다. 기계의 기분에 따라서 — 제 기분이 아닙니다! — 음악이 빨라지거나, 느려지거나, 바이닐이 공회전을 하면서 잡음Noise만 나오기도 하고, 아예 음악을 건너뛰기도 하고, 모든 음악이 끝나면 ‘푹 푹 푹 취악 푹' 같은 소리를 내며 반복 잡음을 냅니다. 뭐랄까 음악을 재생했지만 제가 기대했던 음악을 듣지도 그렇다고 안듣지도 않는 묘한 상황이 드물지만 발생하게 되는 거죠.

 

디지털이면 경고음과 함께 에러Error 메시지가 뜨겠지만, 아날로그의 경우는 뭐 그러려니 하면서 넘어갑니다. 레코드판을 청소하거나, 레코드 바늘을 제자리에 놓거나, 전원을 껐다 켜거나, 축음기를 몇 번 두드리면 제대로 나오니까요.

 

‘전원을 켜지도 않았지만 완전히 끄지도 않은 상태’는 어떤 상태일까요? 요즘 세상에서는 상상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즉 “ON과 OFF의 중간 상태가 디지털에서는 존재하기 힘듭니다. 0 아니면 1, 중간이 없죠. 디지털 세상에서 우리에게는 ‘음악을 듣거나 듣지 않거나’, ‘음악파일을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거나’와 같은 두 가지 ‘경우의 수’ 밖에 없습니다. 음악을 듣지만 듣지 않는 상태가 존재하긴 힘들죠.

 

디지털이 아날로그의 잡음을 모두 제거했지만 이젠 다시 아날로그의 잡음을 디지털로 만들어서 소비하는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그냥 아날로그로 소비하는 편이 더 나을테고, 아마 그런 이유로 잡음을 듣는 자유를 누리고자 하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

 

쓰는데 도움이 된, 읽고 재미있었던 글과 기사들

BMW and Hans Zimmer Want You to Feel More Emotions in Your EV

from. The News Wheel https://thenewswheel.com/bmw-and-hans-zimmer-electric-vehicle-sounds/

 

Analog vs. Digital

from. SparkFun https://learn.sparkfun.com/tutorials/analog-vs-digital/all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김영욱 기자 leo_kim@inthenews.co.kr

배너

SKT, 통신사 최초 24시간 보안센터 운영…고객 접점 정보보호 혁신

SKT, 통신사 최초 24시간 보안센터 운영…고객 접점 정보보호 혁신

2025.10.02 10:37:29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SK텔레콤[017670]은 유통망 정보보호 혁신을 본격화하면서 고객 접점에서 보안을 강화하는 조치를 시행한다고 2일 밝혔습니다. 우선 SKT는 통신사 최초로 365일 연중무휴 24시간 운영되는 'T 안심 24시간보안센터'를 도입했습니다. 'T 안심 24시간보안센터'는 사이버 피해 발생 초기 대응부터 복구까지 원스톱으로 고객을 지원합니다. 기존 일반 고객센터는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하고 야간과 주말에는 휴대폰 분실·습득 등 신속한 조치가 필요한 경우에 한해 상담을 제공했습니다. 'T 안심 24시간보안센터'는 사이버 피해 상담이 필요한 고객이 사고 후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언제든 보안 지식을 갖춘 상담사를 통해 맞춤형 상담을 제공합니다. 구체적으로는 ▲피싱·스미싱·해킹 등에 대한 즉각 차단과 긴급 조치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보안 점검·예방 서비스 안내 및 기관 신고 지원 ▲피해조사, 보상 및 사후 관리까지 피해 복구를 지원합니다. SKT는 향후 고객센터 모든 상담사를 대상으로 보안 관련 교육을 단계적으로 시행, 보안 전문 상담사로 육성하고 고객의 피해 유형에 따른 맞춤형 보안 상담을 상시 제공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경찰청과 협의해 최신 보안 위협 동향, 대응 방안 등 교육을 시행하고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할 방침입니다. 또한, SKT는 고객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신속하고 안전한 보안 서비스를 체감할 수 있도록 전국 2500여개 T월드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안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입니다. 사전 예방부터 사후 지원까지 특화된 보안 상담을 제공하는 'T 안심매장'을 이달부터 운영합니다. 'T 안심매장'에서는 경찰청, 프로파일러 등 내·외부 전문가와 협업해 진행된 보안 전문 교육을 이수한 T크루인 'T 안심지킴이'로부터 사이버 보안 관련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T 안심매장' 마크가 부착된 매장에 방문하는 고객은 누구나 ▲SKT 보안 서비스 상담·가입, 휴대폰 보안 설정 지원 등 사이버 보안 사고 예방 서비스 ▲피싱·스미싱·해킹 등 사고 발생 시 피해 사실 확인 및 추가 피해 차단, 관련 기관 신고 안내 등 조치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SKT는 온라인 고객 접점에서도 보안을 강화합니다. T월드에 접속하면 통신 생활 전반의 보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T 안심브리핑'이 제공됩니다. 크게 네트워크 보안, 전화 보안, 안심상담 등 3개 영역에서 보안 관련 정보를 안내합니다. 네트워크 보안 영역에서는 비정상 인증 차단 시스템, 유심보호서비스, 음성스팸 및 보이스피싱번호차단, 문자 스팸 필터링 등 '고객 안심 패키지' 적용 현황을 볼 수 있습니다. 더 강력한 보안을 원하는 고객은 국제전화수신거부, 국제전화발신금지, 번호도용문자차단 등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전화 보안 영역에서는 AI 기반 스팸·피싱 의심 번호의 전화를 자동 차단하는 AI 안심 비서 에이닷 전화를 보여줍니다. 보안 관련 전문 상담 서비스를 소개하는 안심상담 영역에서는 '내 주변 T 안심매장 찾기', '24시간 365일 상담 가능한 보안 특화 고객센터' 등 기능 바로가기를 지원합니다. 윤재웅 SKT 마케팅전략본부장은 "고객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겪을 수 있는 다양한 보안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고 있다고 몸소 느낄 수 있도록 다중 안전망을 마련했다"라며 "앞으로도 고객들이 안심하고 편안한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