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Bank 은행

“5대 은행 파생상품 판매수수료로 2조원 벌어”...고용진 의원

URL복사

Monday, September 30, 2019, 12:09:09

2015년~올해 8월까지 460만건, 208조원 판매

 

인더뉴스 박민지 기자ㅣ국내 5대 은행이 파생상품 수수료로 2조원을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회 정무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고용진 의원이 금융감독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최근 5년간 5대 시중은행이 파생결합상품 판매로 걷어들인 판매수수료는 1조 9799억원에 이른다. 이들 은행들은 2015년부터 올해 8월 초까지 5년도 안 되는 기간에 460만건, 208조원 상당의 파생결합상품을 판매했다.

 

특히 2016년 23조 5566억원에서 작년 55조 9131억원으로 불과 2년 만에 137% 늘었다. 이에 따라 고객의 손익과 무관한 판매수수료 수입도 2078억원에서 5463억원으로 163% 급증했다. 올해도 8월초까지 벌써 4323억원의 수입을 챙겼는데 같은 기간 판매수수료율은 0.88%에서 0.98%로 0.1% 포인트 증가했다.

 

5대 은행은 전체 파생결합상품의 83%인 172조원 어치의 ELT를 5년간 판 것으로 확인됐다. 그 다음이 ELF로 21조원(10.2%) 상당을 팔았다. 최근 문제가 된 DLF는 9조 3105억원(4.5%), DLT는 4조 7618억원(2.3%)을 판매했다.

 

작년 한 해에만 55조 9131억원 상당의 파생결합상품을 판매했는데 ELT가 47조 4411억원, ELF가 4조 4836억원을 기록해 ELS 관련 상품이 전체의 93%를 차지했다. DLF가 2조 6115억원, DLT가 1조 3770억원으로 4조원 가까운 DLS 관련 파생상품이 은행에서 팔렸다.

 

은행별로 보면 파생상품을 가장 많이 판 곳은 국민은행으로 5년간 75조원(161만건)을 판매해 7495억원의 수수료 수입을 얻었다. 그 다음으로 하나은행이 52조원 상당을 판매해 4850억원의 수수료를 챙겼다. 그 뒤를 이어 신한(35조), 우리(32조), 농협(14조)이 파생결합상품 판매로 각각 3299억, 2924억, 1230억원의 수수료 수입을 올렸다.

 

최근 문제가 된 DLF를 가장 많이 판매한 곳은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으로 나타났다. 하나은행은 작년부터 올해 7월말까지 2조 4457억원의 DLF를 팔아 227억원의 수수료를 챙겼다. 우리은행도 1조 6110억원을 팔아 170억원의 수수료 수입을 올렸다. 이들 두 은행이 작년부터 판매한 DLF는 4조 567억원으로 전체의 85%에 이른다. 판매수수료는 전체의 94%를 차지했다.

 

이들 두 은행은 DLF 판매량을 늘리면서 판매수수료율도 꾸준히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은행의 경우 2016년부터 0.67%의 판매수수료율을 받고 DLF를 팔기 시작했는데 작년에는 0.87%, 올해는 0.99%까지 올렸다. 우리은행도 2015년 0.2%에 불과하던 수수료율을 작년부터 1% 넘게 받고 있다.

 

고용진 의원은 “은행 고객들은 대부분 예적금 위주의 안전한 투자를 찾는다”며 “전문가도 이해하기 어려운 복잡한 구조의 초고위험 파생상품은 증권사에서 판매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이어 “은행에서 초고위험 파생상품을 판매하는 것은 제한할 필요가 있다”며 “이번 국감에서 은행의 파생결합상품 판매 과정에 불완전판매는 없었는지 살펴보고, 피해를 본 투자자 구제와 제도개선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덧붙였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박민지 기자 freshmj@inthenews.co.kr

배너

KB금융 1호 ‘명품가게’ 현판식…양종희 회장 “과거의 헌신 오늘의 희망으로”

KB금융 1호 ‘명품가게’ 현판식…양종희 회장 “과거의 헌신 오늘의 희망으로”

2025.08.14 14:59:09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은 최근 "KB금융은 금융의 역할로 우리사회 곳곳에 선한 영향력을 펼치고 모두 함께 성장하는 동반자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14일 KB금융에 따르면 양종희 회장은 전날 서울 도봉구 창동에서 '명예를품은가게(명품가게)' 첫번째 사업장 현판식에 참석해 이렇게 의지를 밝혔습니다. 명품가게는 KB금융이 광복 80주년 기념으로 국가보훈부,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광복회와 함께 독립유공자 후손 소상공인을 발굴해 생계와 자립을 응원하고 국민공감대를 확산하기 위한 소상공인 지원사업입니다. 1호 명품가게로 선정된 창동 '팔레트미술교습소'는 독립운동가 김혁 선생의 손녀 김수정씨가 운영하는 미술학원으로 지역아동 예술교육에 힘쓰고 있습니다. KB금융과 한경협은 아이들에게 안전하고 편안한 교육환경을 제공하도록 외벽정비, 간판교체, 실내 리모델링, 수도관 보강 등 전반적인 공간개선작업을 했습니다. 팔레트미술교습소 김수정 원장은 "잊지 않고 기억해 주셔서 감사하다. 독립운동가 후손이라는 것이 더욱 자랑스럽게 느껴진다"며 "이번 지원을 통해 교습소 공간이 훨씬 따뜻해졌고 앞으로도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교습소가 되겠다"고 소감을 전했습니다. 양종희 회장은 "이번 명품가게 지원사업은 과거의 헌신과 오늘의 희망을 잇는 뜻깊은 연결고리가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KB금융과 한경협은 향후 전국 8개 지역 독립유공자 후손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가게 및 부대시설 개선(리모델링), 분야별 경영컨설팅(연중), 명품가게 현판 제공 등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KB금융은 나라 위한 희생·헌신에 감사와 존경의 의미를 담아 독립유공자를 위한 캠페인과 후원사업을 꾸준히 펼치고 있습니다. 2019년부터 '대한이 살았다' 캠페인을 하고 있는 KB국민은행은 '독립영웅들의 숨겨진 이야기' 영상캠페인을 제작해 대한민국 독립운동 역사를 널리 알리는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대한의 보금자리' 사업으로 강원 정선, 전남 목포, 경북 영덕 등지에서 노후주택에 거주하는 독립유공자 후손의 주거환경 개선을 지원했습니다. 또 독립유공자 후손을 위한 장학금 전달, 생활지원키트 후원 등 독립유공자와 그 후손을 위한 전방위적 지원에 나서고 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