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lumn 칼럼

[방정환의 손안의 아세안6] 인도네시아의 경주, ‘족자카르타’ 아시나요?

URL복사

Thursday, September 26, 2019, 09:09:54

세계 7대불가사의 보로부두르-쁘람바난 사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지구촌 최대 섬나라이자 무슬림(이슬람 신자)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국가는?”

 

정답은 인도네시아입니다. 최근 한국과의 정서적 거리가 부쩍 가까워지고 있는 아세안(ASEAN, 동남아시아국가연합) 10개국 중 핵심 멤버인 인도네시아를 묘사하는 특징으로 흔히 다문화가 거론됩니다.

 

바로 인도네시아가 1만 7000여 개 섬으로 이뤄진 1개 나라에서 300여 개 인종이 700여 개 언어를 사용하는 다인종, 다언어 국가이기 때문입니다.

 

인도네시아의 다양성을 고스란히 간직한 지역으로 자바섬 중부의 족자카르타(Jogjakarta)가 가장 먼저 언급됩니다. 최근 한국에서도 배낭 여행지로 주가를 높이고 있는 족자카르타는 도시 전체가 박물관이나 다름없는 한국의 경주에 비유되는 역사와 문화의 고장입니다.

 

 

인구 60여만 명의 족자카르타는 수도 자카르타 및 수마트라섬 북부의 아체와 더불어 인도네시아의 3개 특별 자치구 중 한 곳입니다. 그래서 주지사인 술탄(왕)이 여전히 외교, 국방, 통화 정책 등을 제외한 광범위한 자치권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이는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국에 항복했던 1945년 8월 술탄이었던 하멩쿠부워노(Hamengkubuwono) 9세가 족자카르타 왕국이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일부임을 천명하고, 인도네시아의 독립 선언을 인정하지 않았던 네덜란드에 맞서는데 동참하면서 보장받은 권리입니다.

 

실제 배낭 여행객들로 북적이는 시내 중심의 말리오보로 거리 인근에서는 현 술탄인 하멩쿠부워노 10세가 거주하는 왕궁 일부를 둘러볼 수 있습니다.

 

족자카르타의 이름을 나라 밖으로 알린 일등 공신은 단연 풍부한 문화유산입니다. 특히 보로부두르 사원과 쁘람바난 사원은 족자카르타의 대명사나 마찬가지입니다.

 

 

족자카르타 북쪽에 자리잡은 석조 건축물인 보로부두르 사원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입니다. 9세기 초 설립된 뒤 화산재 등에 묻혀 있다가 1814년 영국 총독에 의해 다시 그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10개 층을 이룬 탑들이 신비감을 더하는 피라미드형 구조와 부처의 가르침을 속삭이는 벽을 가득 메운 조각들이 감탄을 자아내는 세계 최대 불교 사원입니다.

 

1991년 보로부두르 사원과 나란히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쁘람바난 사원은 족자카르타 동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9세기 중반에 세워진 전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힌두 사원입니다. 화산 폭발, 지진 등으로 인한 피해를 복원하는 작업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웅장함과 정교함이 조화를 이룬 구조미는 백미로 평가됩니다. 역사의 흥망성쇠를 감싸안은 듯한 신전들의 우뚝 솟은 모습에서는 숙연함마저 느껴집니다.

 

족자카르타의 매력은 불교, 힌두교 신자를 합쳐도 3%에도 못 미치는 세계 최대 무슬림 국가에 들어선 두 개의 인류문화유산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자바의 정신을 상징하는 족자카르타의 전통 음식 역시 간과할 수 없는 매력으로 꼽힙니다. 구득(Gudeg)은 지역색이 강하기로 유명한 족자카르타의 향토 음식 가운데에서도 1순위로 대접받는 요리입니다.

 

구득은 족자카르타 인근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열대 과일인 잭 프루트를 기본으로 합니다. 여기에 각종 허브와 향신료를 넣고 달걀 등을 곁들입니다. 이후 튀긴 닭고기나 쇠고기 등을 기호에 맞춰 추가한 뒤 흰 쌀밥과 함께 손으로 먹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장조림이 연상되는 졸인 잭 프루트 특유의 단맛 탓에 외국인 관광객들의 호불호는 엇갈리지만 족자카르타를 대표하는 음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밖에 경주의 명물인 황남빵과 닮은 꼴의 박피아(Bakpia)라는 특산품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박피아는 팥, 치즈, 초콜릿 등 앙금을 얇은 밀가루 반죽으로 감싸 만든 족자카르타의 별미입니다. 1900년을 전후해 중국 복건성(푸젠성) 출신의 이민자들이 인도네시아에 처음 들여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박피아를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상점들이 몰려 있는 거리가 형성될 정도로 인도네시아 내에서도 족자카르타가 박피아의 고향으로 명성을 떨쳐왔습니다.

 

글쓴이=방정환 아세안비즈니스센터 이사 junghwanoppa@gmail.com

 

방정환은?

 

매일경제신문 기자 출신으로 아세안비즈니스센터 이사로 재직 중이다. 2013년 한국계 투자기업에서 근무를 시작한 이래로 인도네시아와 인연을 이어오고 있다. 인도네시아 입문 교양서 ‘왜 세계는 인도네시아에 주목하는가’를 출간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박명기 기자 pnet21@inthenews.co.kr

배너

갤럭시 S25, 최단기간 300만대 판매 돌파…전작 대비 2달 이상 단축

갤럭시 S25, 최단기간 300만대 판매 돌파…전작 대비 2달 이상 단축

2025.08.05 14:50:05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삼성전자[005930]가 올해 2월 출시한 '갤럭시 S25 시리즈'가 지난 1일 국내 판매량 300만대를 기록했습니다. 갤럭시 S25 시리즈는 출시 이후 100만대, 200만대 판매를 전작보다 1~2주 이상 빠르게 달성 한데 이어 300만대 판매는 전작 대비 2달 이상 단축하며 역대 S시리즈 5G 스마트폰 중 최단기간 기록을 썼습니다. '갤럭시 S25 시리즈'는 역대 최고 성능과 개인화된 AI 기능인 '나우 브리프'를 탑재했습니다. 특히, 갤럭시 S 시리즈 사상 역대 최다인 130만대의 사전 판매 실적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출시 후에는 '생성형 편집'과 '슬로우 모션', '오디오 지우개' 등 소비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갤럭시 AI 기능이 좋은 반응을 얻으면서 갤럭시 S25 시리즈 장기 흥행에 기여했습니다. 또한, 새롭게 선보인 'New 갤럭시 AI 구독클럽'은 가입 1년 후 최대 50% 잔존가 보장 혜택으로 삼성닷컴 구매 고객 10명 중 3명이 가입하는 등 신제품의 흥행을 뒷받침했습니다. 한편, 하반기 플래그십 모델인 '갤럭시 Z 폴드7'과 '갤럭시 Z 플립7'도 지난달 25일 출시 이후 전작 대비 크게 웃도는 판매 실적을 기록하며 갤럭시 폴더블 시리즈 사상 역대 최대 사전 판매 기록인 104만대를 달성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