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Industry/Policy 산업/정책

개발부터 노하우까지...델 EMC, ‘AI 익스피리언스 존’ 개소

URL복사

Thursday, May 23, 2019, 17:05:29

서울 포함 아태지역 5개 국가에 설치..도입 성공사례까지 공유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ㅣ “AI(인공지능)는 운용과정에서 사람이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기술로 무엇을 해결하고자 하는지, 어떤 데이터를 투입할 수 있는지, 어떻게 AI를 적용할지 판단해야 합니다. 이것이 AI 익스피리언스 존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전통적인 ICT(정보통신기술) 업계부터 유통·금융까지 모든 영역에 AI가 스며들고 있다. 대기업들은 대규모 R&D로 자체적인 AI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지만, 그 중요성을 알고 있음에도 섣불리 도입하지 못하는 곳도 많다.

 

기술적인 경쟁력이 없어 활용하지 못하던 기업에 도움이 될 AI 익스피리언스 존이 국내에 마련된다.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적인 지원은 물론 운용 노하우와 산업군별 AI 도입 성공사례를 제공하는 등 전방위적 지원체계를 갖췄다.

 

 

델 EMC는 23일 서울 강남구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AI 익스피리언스 존(AI Experience Zone)’ 서울 개소를 알렸다. 인프라와 기술 부족으로 AI를 사업에 도입하지 못하는 국내 기업을 주 고객으로 모시겠다는 전략이다.

 

델 EMC는 아시아 지역 기업들에 AI활용 요구가 많다고 판단해 서울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5개 국가(호주·싱가포르·인도·일본)에 AI 익스피리언스 존을 열기로 했다. 장소는 서울 강남구 델 EMC 본사에 있는 KSC(코리아 솔루션 센터)에 마련된다.

 

AI 익스피리언스 서울 존(AI Experience Zone in Seoul)은 역삼동 강남파이낸스센터에 위치한 델 EMC 본사의 KSC(코리아 솔루션 센터) 내에 마련됐다.  

 

지난 1월 델 테크놀로지스가 발표한 ‘디지털 전환 지표(Digital Transformation Index)’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 지역 비즈니스 리더들은 AI 활용을 사업에 있어 최우선 순위 과제로 꼽았다. 응답자 약 50%가 1~3년 안에 투자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조사 대상 기업 95%는 디지털 전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그 이유는 관련 기술과 전문지식 부족이었다. 

 

AI 익스피리언스 존은 기업에 AI를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핸즈온 교육, 워크숍, 케이스 스터디 등이다. 델 EMC는 “참여 고객들은 AI 기술과 개발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핸즈온(hands-on) 클래스에서 Al 솔루션 설계· 구축까지 경험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AI 익스피리언스 존은 인텔 ‘개방형 시각 추론 & 신경망 최적화(OpenVINO·Open Visual Inference & Neural Network Optimization) 툴킷’을 제공한다. 이는 딥 러닝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솔루션이다. 이밖에도 다양한 AI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델 EMC가 구축한 고성능 컴퓨팅(HPC)·AI 생태계가 다양한 산업군에 쓰이는 방식을 엿볼 수 있다. HPC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기술 데모는 샘플데이터 세트가 처리·추론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Intel Xeon Scalable) 프로세서가 탑재돼 구동 성능도 우수하다.

 

여기에 델 EMC 파워엣지 서버 신규 모델과 네트워킹·스토리지 기술을 지원한다. 브라이트 클러스터 매니저(Bright Cluster Manager)와 같은 클러스터 관리 솔루션이나 텐서플로우(TensorFlow) 등 머신러닝 라이브러리도 준비돼있다.

 

AI 구축을 간소화하는데도 초점을 맞췄다. 마스터클래스 트레이닝과 AI 전문가 지원, 현지 협업 기회를 제공한다. AI 시스템 설계와 구축부터 구체적인 사업 성과를 도출하도록 단계별 가이드를 제시한다.

 

모델 동물원(Model zoo)이라고 불리는 산업별 AI 샘플 알고리즘과 데이터 세트가 있어, 맞춤형 검증이 가능하다. 또한 델 테크놀로지로부터 AI를 도입한 성공적인 기업 사례를 공유한다. 데이터 사이언스 기술로 사기 거래를 가려내는 마스터 카드가 대표적이다.

 

델 EMC는 한국 고객들에게 맞는 지역 파트너 생태계를 구축해 협력사 역량을 키우고 고객들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도 구상하고 있다.

 

앤드루 언더우드(Andrew Underwood) 델 테크놀로지스 아태지역 HPC·AI 부문 CTO는 “데이터가 주도하는 시대에서 AI는 선택이 아니다”라며 “AI 익스피리언스 존은 실용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지식 공유 공간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이진솔 기자 jinsol@inthenews.co.kr

배너

삼성전자, 차세대 파운드리 비전 제시…2027년 1.4나노 공정 양산 계획

삼성전자, 차세대 파운드리 비전 제시…2027년 1.4나노 공정 양산 계획

2024.06.13 14:53:05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삼성전자[005930]가 2나노, 4나노 등에 적용되는 차세대 최선단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공정 기술 로드맵을 제시하고 글로벌 팹리스 AI 시장 확대에 적극 나섭니다. 삼성전자는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지난 12일(현지시간)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4'를 개최하고 AI 시대를 주도할 파운드리 기술 전략을 공개했다고 13일 밝혔습니다. 이번 포럼에서는 고객의 AI 아이디어 구현을 위한 삼성전자의 최선단 파운드리 기술 소개, 메모리반도체와 어드밴스드 패키지 사업부와 협력을 통한 시너지 창출 등에 대한 사업전략이 제시됐습니다. 또한 파운드리, 메모리반도체, 어드밴스드 패키지 사업부가 '원팀'으로 원스톱 AI솔루션을 제공하는 턴키 서비스를 통한 기술, 서비스 차별화 전략도 선보였습니다. 2나노 공정에 후면전력공급 도입…2027년 1.4나노 공정 양산 삼성전자는 이번 포럼에서 BSPDN(후면전력공급 기술, Back Side Power Delivery Network) 기술을 적용한 2나노 공정(SF2Z)을 2027년까지 준비한다고 발표했습니다. BSPDN은 전류 배선층을 웨이퍼 후면에 배치해 전력과 신호 라인의 병목 현상을 개선하는 기술입니다. SF2Z는 기존 2나노 공정 대비 PPA(공정기술 평가하는 소비전력, 성능, 면적의 영어 약자) 개선 효과뿐 아니라, 전류의 흐름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전압강하 현상을 대폭 줄일 수 있어 고성능 컴퓨팅 설계 성능을 향상 시킨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광학적 축소(optical shrink)를 통해 PPA 경쟁력이 추가 향상된 신규 4나노 공정 기술 SF4U도 공개하고 2025년에 양산할 예정입니다. 특히, 삼성전자는 2027년에 1.4나노 공정 양산을 계획하고 있으며 목표한 성능과 수율을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현재 삼성전자는 3나노 공정에 GAA 트랜지스터 기술을 최초로 적용해 2022년부터 양산 중이며 올 하반기에 2세대 3나노 공정 양산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메모리·패키지와 원팀 협력으로 AI 솔루션 턴키 서비스 제공 삼성전자는 파운드리와 메모리, 어드밴스드 패키지 사업을 모두 보유해 고객사에 맞춤형 AI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유리하다고 밝혔습니다 삼성은 세 개 사업 분야간 협력으로 고성능·저전력·고대역폭 강점을 갖춘 통합 AI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삼성 솔루션을 이용하는 고객사는 공급망을 단순화하면서 편의성은 높여 칩 개발부터 생산에 걸리는 시간을 약 20% 단축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삼성전자는 2027년에는 AI 솔루션에 적은 전력 소비로도 고속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광학 소자 기술까지 통합해 고객들이 필요로 하는 '원스톱 AI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최시영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 사장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AI 반도체에 최적화된 GAA(게이트 올 어라운드) 공정 기술과 적은 전력 소비로도 고속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광학 소자 기술 등을 통해 AI 시대에 고객들이 필요로 하는 원스톱 AI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다"고 말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이같은 최선단 공정 기술과 함께 기존 8인치 파운드리 공정 라인에도 PPA와 가격경쟁력을 개선한 공정 기술을 제공하는 등 고객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올해 AI 제품 수주 규모는 작년 대비 80% 이상 성장했다고 밝혔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