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이진솔 기자ㅣ 삼성전자가 KT와 국가재난안전통신망 본사업 통신장비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지난해 아현국사 화재로 몸살을 앓았던 KT는 이번에 삼성전자로부터 각종 신기술이 적용된 통신장비를 받아 재난에 단단히 대비했다.
2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번 계약으로 KT에 2020년까지 국가재난안전통신망 A·B 사업(서울·대전·대구·광주·경기·충남·강원·전라·경북·제주)에 700MHz 기지국과 가상화 코어 소프트웨어, 전용 솔루션 등을 단독 공급한다. 사업에는 LTE 공공망에 세계 최초로 탑재되는 기술이 적용됐다.
3GPP 국제 표준 기술인 ▲기지국 공유기술(RAN Sharing) ▲공공망용 사물인터넷(NB-IoT) ▲차량형 이동기지국(IOPS) ▲단말간 직접통신(D2D Communication) ▲다중동시영상전송(eMBMS) 등이다. 재난 발생 시 수신 범위 확보와 통신망 생존성 확보에 중점을 뒀다.

우선 현장 구조인력 음성·화상 통화를 최우선 처리하는 ‘개별·그룹별 비상통화(Mission Critical Push-To-Talk)’를 지원한다. 이미 구축된 상용망으로 국가재난안전통신망 서비스를 하는 ‘기지국 공유 기술’은 효율적인 비용으로 전국 서비스가 가능하며 음영 지역도 줄일 수 있다.
보안도 강화한다. 재난대응 8대 정부부처(경찰·소방·해경·지자체·군·의료·전기·가스)가 활용하는 국가재난안전통신 무선네트워크와 기간망에 보안 무결성도 확보한다.
NB-IoT는 공공망용 사물인터넷 기술로 구조활동부터 화재감시·시설물 관리 등 예방활동을 지원한다. 사물인터넷 단말을 저전력 무선통신으로 연결해 국가재난안전통신망에 연결하는 방식이다.
수신 범위를 넓히는 기술도 있다. 자체적인 통신망을 구축하는 IOPS와 D2D는 산악 등 수신이 어려운 지역에 구조 활동을 지원한다.또한 다중동시영상전송 기술이 국가재난안전통신망에 최초로 적용된다. 1대 다수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어 재난안전통신에 최적화됐다.
삼성전자는 국가재난안전통신망 기지국(Radio Unit) 물량의 75% 이상을 국내 중소·중견기업과 협력해 공급할 계획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LTE 철도망 등 LTE 공공망 사업에서도 국내 중소·중견기업과의 상생 협력을 지속해왔다.
서기용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전략마케팅팀장 전무는 “삼성전자는 재난안전통신망 표준 제정부터 전체 솔루션 공급과 국내 중소·중견업체와의 상생까지 적극적인 투자 개발을 진행해왔으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기술과 산업을 계속해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윤영 KT 기업사업부문장 부사장은 “삼성의 혁신적인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 트래픽이 고도로 집중되거나 음영지역인 곳에서도 효과적인 구조활동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경부선 KTX 고속철도 사업에도 참여한다. 세계 최초로 시속 350Km 이상으로 움직이는 고속철도에 LTE 기술을 적용한다. 재난안전망과 LTE 철도망을 연결해 통합 LTE 공공망을 구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