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박경보 기자ㅣ 두산중공업은 국내 최초로 수소액화플랜트 실증사업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맞춘 액화수소 생산 기반을 통해 수소 경제 인프라 확충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두산중공업은 이날 창원시, 창원산업진흥원과 수소액화 및 저장장치 실증사업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경남 창원 두산중공업 본사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허성무 창원시장, 양치훈 창원산업진흥원 본부장, 정연인 두산중공업 관리부문장 등이 참석했다.
두산중공업은 창원시 수소에너지 순환시스템 실증단지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국내 첫 수소액화플랜트를 공급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창원시와 창원산업진흥원은 부지 공급, 예산 확보, 수소에너지 순환시스템 실증단지와의 연계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두산중공업은 수소액화 플랜트를 EPC 방식으로 건설하고 두 기관과 함께 유지보수(O&M) 업무를 수행한다. 이 플랜트는 하루 0.5톤의 액화수소 생산을 목표로 창원시 성주동 부지에 준공될 예정이다. 생산되는 액화수소는 수소충전소 등 수요처로 공급된다.
청정 에너지원인 수소는 영하 253℃의 극저온에서 액화된다. 이 액화수소는 기체수소에 비해 부피가 800분의 1로 줄어들어 저장 및 운송이 쉽다. 또한 수소충전소의 저장탱크 크기가 작아져 충전소 건설 부지를 줄여주는 등 운영비를 절감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정연인 두산중공업 관리부문장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수소액화플랜트를 공급하게 되는 만큼 실증에 성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이번 사업협약 체결로 액화수소 생산 기반을 구축해 수소 경제 인프라 확충과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 1월, 2040년까지 연간 526만 톤의 수소 공급을 목표로 하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두산중공업은 수소충전소 주요 설비인 고압저장탱크와 열교환기 등의 개발을 완료하고 수소충전소 4곳에 열교환기를 공급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