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라면을 먹기 위해 가스레인지와 인덕션레인지에 냄비를 동시에 올렸는데, 어느쪽 물이 더 빨리 끓을까?’
그동안 같은 양의 물을 올렸을 때 가스레인지쪽이 더 빨리 끓었다. 하지만, 최근 가스레인지보다 열 전도율이 빠르고 강한 인덕션레인지가 나왔다. 똑같은 양의 물을 끓였을 때 인덕션레인지에 올려진 냄비의 반응속도가 더 빠르다는 것이다.
쿠쿠전자가 인덕션레인지 시장 강화에 나섰다. 국내 전기레인지 사용률은 매우 저조한 편인 가운데, 올해 전체 100만대가 판매될 것이란 전망이다. 쿠쿠전자는 지난 2014년 전기레인지 시장에 본격 진출해 SK매직, 쿠첸, 린나이 등과 경쟁하고 있다.
19일 쿠쿠전자는 서울 중구에서 ‘초고온 하이브리드 인덕션레인지’의 신제품 2종을 공개했다. 신제품 2종 중 CIHR-HLT302FS는 쿠쿠전자의 전기레인지를 대표하는 ‘초고온 하이브리드 인덕션레인지’ 라인업 중 하나다.
특히 이번 제품은 세라인 글라스를 최초로 활용했다. 기존 전기레인지 시장에서 보편적으로 출시한 블랙, 그레이 톤의 디자인을 벗어나 감각적인 주방 인테리어에 어울린다는 평이다. 직접 실물을 보니, 반짝이는 회색톤의 글라스가 덮여져 있었고, 거울처럼 비쳤다.
이번 인덕션레인지는 ‘초고온 모드’를 탑재하고 있다. 초고온 모드는 쿠쿠 IH 인덕션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된 특허기술로 인덕션 열제어 알고리즘 기술을 통해 초고온에서의 가열 온도 편차를 최소화했다.
균일한 온도 조절로 조리시간을 줄이고, 스테이크나 생선 등에 따라 불조절이 가능하다. 특히, 초고온 모드로 짧은 시간에 고품질의 요리를 완성하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 효과가 크고, 전기세 부담이 적은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계란 후라이와 부침개를 완성하는데도 뚝딱 걸렸다. 손가락으로 전원 버튼을 3초 이상 누르고, 화구를 선택한다. 가열 온도를 7로 맞춰놓고 기름을 두른 후 잠시 기다렸다가 후라이 팬에 계란을 터트렸다. 노른자를 유지한 반숙 계란은 2~3분이면 완성됐다.
쿠쿠전자 홍보 담당자는 “과거 인덕션레인지 가열 온도 편차가 심해 음식이 골고루 익지 않았는데, 프리미엄 전기레인지는 가열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고, 평균 조리온도를 업계 최고 수준으로 구현한다”고 설명했다.
물 없이도 재료를 신선하고 아삭하게 데칠 수 있는 ‘무수분 요리’가 가능하다. 초고온 모드와 동일한 원리로 낮은 온도를 정확하고, 세밀하게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오랫동안 가열이 필요한 요리를 물 없이 조리할 수 있다.
삼겹살이나 스테이크를 구울 때 튀는 기름기도 말끔하게 해결할 수 있다. 예컨대, 삼겹살을 구울 경우 후라이팬 밑에 종이호일을 깔 수 있기 때문이다. 종이를 깔아도 화재 위험성이 없어 기름진 음식을 조리할 때 기름때 걱정을 덜 수 있다는 게 쿠쿠전자의 설명이다.
이밖에 ‘냥이안전모드’를 개발해 고양이 등 반려동물이 전기레인지를 작동시켜 발생한 화재 위허도 방지했다. 전원버튼 1초 이상 누를 경우 제품이 작동하며, 화구 선택 버튼을 별도로 눌러야 화구가 가열된다. 전원을 켜도 1분 안에 추가 조작이 없으면 자동으로 꺼진다.
문제는 높은 가격대다. 현재 쿠쿠전자는 판매와 렌탈 투트랙으로 인덕션레인지를 판매하고 있다. 일반 가정용 기준으로 3구 인덕션레인지의 가격은 100만원 안팎이다. 오는 3월 출시될 세라인 글라스 인덕션레인지는 기존 제품보다 더 높은 가격일 것으로 보인다.
앞서 쿠쿠전자는 지난 2014년 인덕션레인지를 출시해 지금까지 1400만대를 판매했다. 2016년부터 성과를 내기 시작하며, 2016년 매출은 269.8%, 2017년 32.5%, 2018년 72.5% 증가하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하반기 하이엔드급 제품을 개발할 예정이다. 쿠쿠전자는 올해 전기레인지 15만대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전기레인지 매출 비중을 전체 매출의 10%까지 올려나간다는 계획이다.
쿠쿠전자 관계자는 “40년 동안 축적해온 밥솥 제조 기술력과 노하우를 전기레인지에 그대로 탑재해 프리미엄 주방가전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전기레인지 시장 리딩 브랜드로 도약하기 위해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시장 공략에 나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