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건호 서민금융진흥원 부원장] 지난 2014년 펀드슈퍼마켓이 도입되면서 이슈가 된 적이 있다. 펀드슈퍼마켓은 여러 운용사의 펀드를 한 곳에서 비교해 가입할 수 있는 온라인 금융상품몰을 뜻한다.
펀드에 가입하려는 투자자는 여러 금융회사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펀드슈퍼마켓에 접속해 다양한 상품을 비교·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투자자는 발품을 팔 때보다 더 쉽고 저렴하게 다양한 상품을 한눈에 비교하고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펀드 투자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서민금융 시장의 상황은 어떠한가? 서민금융은 서민금융진흥원과 국민행복기금 등과 같은 정책금융기관뿐만 아니라, 농·수·산림협 단위조합, 신협, 새마을금고와 같은 상호금융, 저축은행, 캐피탈, 대부업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금융회사와 정책기관에서 서민금융을 공급하고 있다.
대출상품도 소득·신용등급과 같은 자격조건, 대출기간·대출한도·금리와 같은 대출조건, 수수료·상환방법과 같은 상품특성이 각각 차이가 있다. 따라서 여러 곳에서 대출상담을 받아 보고, 금리·한도 등 조건이 대출수요자에게 가장 적합한 상품을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금융소비자 보호에 대한 국민인식조사’에 따르면, 금융소비자는 금융상품을 선택하기 위해 ‘금융회사 지점 방문 및 상담’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금융상품 전반에 대한 지식과 경험의 부족으로 인해 상품 선택에서 곤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본인의 금융지식이 ‘불충분하다’는 답변이 64.9%, 금융회사 직원의 설명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응답이 56.0%를 차지하고 있었다.
서민금융 수요자인 서민·취약계층 역시 지점 방문을 통한 대출 상담과 상품 선택을 선호할 것이다. 하지만 서민금융기관과 대출상품이 너무 다양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고, 효율적인 선택도 어렵다.
특히 긴급자금이 필요한 서민·취약계층은 자칫하다간 본인의 상환능력과 관계없이 고금리 단기자금을 쓰게 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자금이 필요한 서민은 ‘서민금융형 슈퍼마켓’ 격인 서민금융진흥원의 ‘맞춤대출서비스’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맞춤대출서비스는 대출 때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면 본인에 적합한 대출상품을 ‘최저금리 순’ 또는 ‘최고한도 순’으로 정렬해서 비교하고, 원하는 상품을 신청할 수 있는 서비스다.
1397 서민금융콜센터, 전국 46개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맞춤대출 홈페이지 등에서 56개 금융기관의 160개 대출상품을 비교·신청할 수 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민·취약계층은 대출한도·금리 등에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맞춤대출 이용자 전용상품이나 추가적인 금리혜택 등을 받아볼 수도 있어 금리 부담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맞춤대출서비스는 정책서민금융 비금융서비스의 일환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거나 무리한 대출을 권하지 않는다. 상환 능력이 부족한 서민·취약계층에게는 대출을 무리하게 유도하기 보다는 복지서비스나 취업지원 서비스로 연계하고 있다.
공적 대출중개서비스이기 때문에 스팸문자를 통한 대출모집인의 불법 영업행위나 피싱 등 금융사기로 부터도 안전하다. 작년 중 맞춤대출서비스는 2만 3476명의 서민·취약계층에게 총 2883억원을 중개했다.
맞춤대출서비스는 앞으로도 더 많은 금융회사와 업무제휴를 통해 다양한 금융상품을 더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 서민금융진흥원 부원장·경제학 박사 최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