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수정 기자] 서울 집값이 지난해 11월 둘째주부터 8주째 떨어지며 하향세를 유지하고 있다. 3기 신도시 발표 이후 우려했던 해당 지역 집값 폭등 현상도 나타나지 않고 있다.
3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1월 1주 주간아파트 가격동향‘(12월 31일 기준)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보다 -0.01%p 더 떨어진 -0.09%를 기록했다. 3기 신도시 예정지인 ▲남양주 왕숙 ▲해남 교산 ▲인천 계양 ▲과천 등지 아파트 매매가도 보합 내지 하락세를 보였다.
강남지역(-0.12%)은 강남4구 재건축단지 중심으로 하락했다. 특히 송파구(-0.18%) 잠실동 일대는 급매물이 누적되며 신축 아파트도 내림세를 보였다. 강남구는 -0.25%를 기록하며 서울 내에서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강동구와 서초구는 각각 -0.09%, -0.08%를 기록했다.
강남4구 외 지역은 매수시장에서 관망세가 확산되면서 ▲양천구(-0.13%) 목동신시가지 ▲구로구(-0.10%) 구로·신도림동 위주로 내림세를 보였다. 강북지역(-0.05%)도 종로구(0.00%)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하락했다. 특히 마포구(-0.22%)는 대흥·상수동 위주로 떨어지며 서울 내에서 두번째로 크게 떨어졌다.

지난해 12월 발표된 3기 신도기 예정지역도 인천 계양(0.14%→0.08%)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하락세다. 다만 남양주는 지난주 -0.04%→0.00%로 보합 전환, 하남은 -0.32%→-0.14%, 과천은 -0.16%→-0.08%로 내림세가 소폭 줄어든 모양새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3기 신도시 예정지가 전주대비 내림폭이 소폭 줄긴 했지만 미미한 수준이며, 이런 현상이 3기 신도시 지정 영향이라고 말하기는 힘들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부동산 가격은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적용되는 만큼 3기 신도시 지정이 지역 시장 변화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값은 전주보다 0.07% 하락한 가운데 지방 역시 -0.08% 떨어졌다. 5대광역시는 전주보다 0.02%p 하락한 -0.05%를 기록하며 낙폭이 확대됐다.
전셋값은 전국이 -0.09%로 3주 연속 같은 수치를 보였다. 시도별로는 세종시(0.45%)가 가장 많이 올랐고, 충북(-0.29%)은 공급 증가에 따른 수급불균형으로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