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주동일 기자ㅣ 천연가스 배관망(전국 매설 길이 총 약 5000km) 점검 중 차량 접근이 힘든 지역에서 드론 수요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에 LG유플러스는 한국가스공사·한국가스기술공사·한화정밀기계·이노팸 등과 함께 드론 관제시스템을 통한 사회기반시설 정밀점검 기술을 선보였다.
LG유플러스(부회장 하현회)는 U+드론 관제시스템을 이용한 ‘사회기반시설 정밀점검’을 성공적으로 시연했다고 지난 9일 밝혔다. 이번 시연에서 천연가스 배관망 매설지역을 실시간으로 감시해 리스크를 미리 예방하는 기술을 선보였다.
LG유플러스는 비가시권 자율비행을 기반으로 ▲3D지도·상공전파지도·상공기상정보를 통한 천연가스 배관망 매설지역 실시간 촬영 ▲실시간 매설지역 감시·불법공사·중단 요청을 진행했다. 또 ▲지반변위 탐지 등 시연을 통해 해당 지역을 잠재적 피해로부터 보호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시연을 위해 5일 대전광역시 한국가스기술공사 관제실에 U+드론 관제시스템을 설치했다. 실제 드론 비행은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약 2.8km 길이의 천연가스 배관망 매설지역에서 했다.
가장 먼저 3D지도·상공전파지도·상공기상정보를 통한 천연가스 배관망 매설지역 실시간 촬영을 선보였다. 배관망 매설지역 주변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기술이다. 3D지도를 이용하면 드론의 경로 설정 시 고도별 장애물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2D지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시연에 사용한 드론은 배관망 매설지역 인근에 위치한 드론포트에서 이륙한 것이 특징이다. 이번에 설치한 드론포트는 본부 관제실의 관제시스템과 연동해 원격관제가 가능하고 무선 충전 기능도 갖췄다. 이번 시연을 통해 드론포트의 가능성도 확인했다.
다음으로 U+드론 클라우드 관제시스템에 연동한 드론이 배관망 매설지역 주변을 실시간으로 감시했다. 드론은 장착한 FHD 카메라로 현장을 촬영하고 객체검출 딥러링 엔진으로 불법 공사지역에 있는 굴삭기를 인식했다. 관제시스템은 팝업을 통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
한국가스기술공사 관제실은 관제시스템을 통해 전달받은 굴삭기 위치정보를 활용해 VoLTE 스피커를 장착한 새로운 드론을 출동시켰다. 새 드론은 굴삭기를 향해 공사를 중지하라는 음성을 지속적으로 송출했다. 굴삭기가 공사를 중지한 뒤 관제시스템 명령을 받고 복귀했다.
끝으로 유플러스는 지반변위 발생지역을 탐지했다. 시범사업에서 제작한 무기준점 매핑 드론은 고도 80m에서 14m/s로 가스관 매설지역 주변을 지속 촬영했다. 촬영한 영상은 이노팸의 지반변위 탐지 솔루션으로 처리·분석해 싱크홀·산사태·토지유실 등 지반 변화를 감지했다.

이번 시연은 국토교통부 '드론 규제 샌드박스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이뤄졌다. 드론의 실용화·조기 상용화를 촉진하기 위해 드론 분야에서 일정 기간 규제 없이 신규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안전성 테스트 등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게 허락하는 것이다.
LG유플러스 미래서비스담당 서재용 상무는 “(드론이) 상용화되면 드론이 담당 지역을 식별·실시간 감시해 불법 공사를 중단시키고 지반 변위 발생지역을 사전에 탐지하는 등 하나의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라며 “잠재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가스공사 관계자는 “이번 LG유플러스와의 시연을 통해 수요가 갈수록 커지는 드론의 실용성을 확인했다”며 “해당 사업을 개선·보완해 천연가스 배관망 매설지역뿐 아니라 다양한 사회기반시설 정밀점검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이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