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정재혁 기자]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보험사 CEO들과 만난 자리에서 “우리 사회가 보험산업에 요구하는 최우선 과제는 소비자 신뢰도 제고”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금감원은 이를 위해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춰 각종 제도와 관행을 개선하기 위한 ‘혁신 T/F’를 가동한다.
윤석헌 금감원장은 7일 오전 은행회관에서 금감원 보험담당 부원장보, 생명‧손해보험 협회장, 보험업계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윤 원장 취임 후 보험업계와 공식적으로 처음 만나는 자리다.

윤 원장은 간담회 자리에서 보험산업의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소비자 신뢰 확보’를 강조했다. 그동안 보험업계가 나름대로 소비자 권익 제고를 위해 노력해왔지만, 아직 소비자들의 눈높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윤 원장은 “보험 가입은 쉬우나, 보험금 받기는 어렵다는 소비자들의 인식이 여전히 팽배하다”며 “또한, 보험 약관은 이해하기 어렵고 심지어는 약관 내용 자체가 불분명한 경우도 있어 민원과 분쟁이 끊이지 않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윤 원장은 금감원 차원에서 각종 제도와 관행을 개선하기 위한 혁신 T/F를 가동할 계획임을 밝혔다. 혁신 T/F는 학계와 보험업계 등 외부 의견을 적극 수렴해 종합적인 개선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윤 원장은 보험업계 큰 현안 중 하나인 IFRS17 도입 준비를 철저히 할 것을 당부했다. 자본확충 등 건전성 강화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보험부채 시가평가에 따른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지급여력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리스크 관리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해서는 “IT기술과 보험이 융합되면서 보험산업 경영환경이 크게 변하고 있고, 인슈어테크 출현 등으로 보험산업 구조도 재편되는 과정”이라며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업계가 IT기술 활용능력을 제고하고 새로운 유형의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포용적 금융’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사회 취약계층이 위험으로부터 보호받기 어렵기 때문에 보험산업이 이들을 적극 감싸 안아야 한다며 보험산업의 역할론을 강조했다.
윤 원장은 “그간 보험가입이 어려웠던 유병자 등을 위한 전용상품 개발이 포용적 금융의 좋은 사례”라며 “다양한 상품개발을 통해 취약계층을 포용하는 건강한 금융시스템 구축에 한층 더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