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롯데그룹이 지난 2017년 1월 남성육아휴직 제도를 도입한 이후 신청자가 2000명을 돌파했다. 이 제도는 육아분담에 도움을 주고, 추가적인 자녀계획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됐다.
12일 롯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육아휴직을 사용한 남성 직원은 900명으로 집계됐다. 작년 1월부터 도입한 이후 올해 6월 기준으로 총 2000명이 사용했다. 남성육아휴직은 최소 1개월 이상 사용을 의무화했으며, 휴직 첫 달 통상임금의 100%를 보전한다.

롯데는 양성평등과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을 통한 기업문화 변화를 시도해 왔다. 작년 1월 이후 상반기 400명이 신청했고, 하반기 700명이 육아휴직 제도를 활용했다. 특히 육아와 가사분담이 많이 필요한 시기인 출산 초기에 신청하는 직원들이 늘었다.
작년 우리나라 총 남성육아휴직자 규모는 1만 2043명으로 이 중 9%가 롯데 남성육아휴직자인 것으로 파악됐다. 또 남성육아휴직 의무화는 신청자 수의 증가와 더불어 육아에 대한 인식과 행동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롯데는 남성육아휴직을 경험한 직원의 배우자 100명을 대상으로 '육아휴직 전후 남편의 행동변화'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휴직기간 육아와 가사분담에 실질적 도움이 됐다는 응답이 주를 이뤘다. 배우자에 대한 이해와 공감, 추가 자녀 계획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 ‘남편의 육아휴직이 육아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됐는지’ 묻는 응답에 ‘매우 도움 됐다’는 응답 비율이 72%에 달했다. 나머지 ‘어느정도 도움이 됐다’는 응답 비율이 19%로 배우자의 91%가 긍정적인 평가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도움이 된 측면으로 가사와 육아를 부부가 함께 한다는 심리적 위안을 꼽았으며, 육아휴직 후 가장 달라진 점으로 자녀와의 친밀한 관계 유지라 답했다.
또한 남편의 육아휴직 전후 남편의 가사분담 시간의 변화를 묻는 설문에서는 휴직전 일평균 1.2시간에서 휴직 후 2.9시간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OECD 평균 2.3시간보다도 높으며, 북유럽의 덴마크 (3.1시간) 수준의 가사참여 시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응답자의 89%가 향후 자녀출산계획에도 남편의 육아휴직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해 ‘함께 키우는 육아‘가 출산율 제고에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롯데는 앞으로도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해 남성육아휴직의 활성화에 더욱 매진할 계획이다. 특히 남성직원들이 가정에서 육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육아 교육 프로그램 등을 준비하고 있다.
우선 롯데는 지난 1년반 가량의 남성육아휴직의 경험을 담아 남성육아휴직 지침서 ‘처음 아빠‘를 제작해 사내용으로 배포한다. 이 책에는 아빠들이 아이를 키울 때 참고할 정보와 팁을 비롯해 남성육아휴직을 다녀온 직원들의 수기가 담겨 있다.
롯데마트 이익중 사원은 수기를 통해 “육체적으로는 회사에서 일할 때보다 힘들때도 많았지만, 아이들과 사이가 더욱 돈독해 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며 “가족과 함께한 한달의 시간이 너무 행복하고 소중하며, 육아는 돕는 것이 아니라 함께 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오는 19일부터 남성육아휴직자 교육프로그램인 ‘대디스쿨’ 수강생들을 시작으로 남성육아휴직자들에게 책을 배포할 계획이다.
기원규 롯데지주 인재육성팀 상무는 “롯데의 남성육아휴직이 빠르게 정착해 순기능이 조직 안팎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일과 가정의 양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도를 강화해 육아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전화과 출산율을 높이는데 일조할 방침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