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김철 기자] 보험개발원이 국내 펫(애완동물)보험 활성화를 위해 참조순보험요율(이하 참조요율) 개발에 나선다. 최근 정부가 일반 손해보험 활성화 차원에서 펫보험·어린이보험 등 특화 보험사 설립을 적극 허용하는 방안을 내놓은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보험개발원은 빅데이터나 인공지능(AI) 등 4차산업혁명 기술을 보험업계가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도울 전망이다. 이를 통해 업계의 ‘퍼플오션(Purple Ocean)’ 개척에 힘을 보탤 것으로 기대된다.

성대규 보험개발원 원장은 1일 ‘보험개발원 신년 기자간담회’ 자리에 참석해 “일반손해보험 활성화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2차년도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며 “퍼플오션이 확고히 정착, 육성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퍼플오션’은 치열한 경쟁 시장인 ‘레드오션(Red Ocean)’과 경쟁자가 없는 시장인 ‘블루오션(Blue Ocean)’을 조합한 말이다. 기존의 레드오션에서 발상의 전환을 통해 새로운 가치의 시장을 만드는 전략으로, 레드와 블루를 혼합하면 나오는 색인 퍼플을 차용했다.
보험개발원은 올해 손해보험사가 보험료 산정에 참고하는 참조순보험요율을 다양화할 계획이다. 특히, 반려동물의 사망, 상해, 질병, 타인에 대한 배상책임 등 다양한 플랜을 설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참조요율을 개발한다.
성대규 원장은 “국내 반려동물 등록률이 낮고 치료비 예측이 어려운 점을 감안해 충분한 실태조사도 진행할 예정”이라며 “이는 시장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4차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보험상품 개발 및 관련 기술개발에도 적극 나선다. 보험개발원은 작년에 서울대와 공동으로 지난 10년 동안의 당뇨환자를 추적해 당뇨합병증 예측모델을 개발한 바 있다. 올해에는 고혈압 합병증 모델을 개발하고, 내년에는 간질환 및 심장질환으로 계속 확대할 계획이다.
보험사들을 위한 인슈테크(Insutech) 환경도 조성한다. 현재 보험개발원이 개발·보급 중인 ‘자동차 수리비 견적시스템(AOS)’에 이미지 인식, AI 등 4차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접목하기로 했다.
AI을 이용해 보험약관과 순보험료의 정확성을 확인하는 시스템 개발도 추진한다. 우선 Text Mining 기술 등을 이용해 약관을 비교분석 하는 업무부터 시작하고, 향후 보험료 확인 등의 업무에도 AI를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보험업계와 공동으로 ‘AI 개발 TF(가칭)’를 구성할 예정이다.
이밖에 보험개발원은 올 상반기 중에 IFRS17 통합시스템 개발을 완료한다. 보험개발원은 2021년 적용될 IFRS17에 대비하기 위해 지난 2015년부터 10개 보험사와 공동으로 시스템을 개발해 왔다.
성대규 원장은 “IFRS17 시스템 구축에 전력을 다해왔다”며 “적어도 시스템 개발에 공동으로 참여한 10개 보험사들은 향후 IFRS17 도입에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