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네이버[035420]의 모바일 라이브 스트리밍 앱 '프리즘 라이브 스튜디오'가 소니와 협력하여 '소니 모코피 연동 모션 캡처 기능'을 출시했다고 4일 밝혔습니다.
이번 소니와의 협력을 통해 스마트폰 환경에서도 누구나 전신 'VTubing(가상 아바타를 활용한 라이브 스트리밍)'을 진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며 모바일 버추얼 스트리밍 기술력의 외연을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프리즘 라이브 스튜디오는 크리에이터들이 겪어왔던 비용 문제 및 시간적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소니와의 협력을 통해 전문 버추얼 라이브 스튜디오를 방문하지 않더라도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모션 추적 기능을 지원합니다. 프리즘 라이브 스튜디오는 그간 모바일 앱으로 3D 아바타를 활용한 버추얼 콘텐츠 제작을 지원해 왔으며 이번 소니와의 협력으로 모션 추적 기능까지 더해 이제 모바일에서도 상반신만이 아닌 전신을 활용한 버추얼 스트리밍이 가능해졌습니다.
소니 모코피는 블루투스로 여섯 개의 센서를 스마트폰과 연결해 사용자의 전신 움직임을 인식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3D 콘텐츠에 반영할 수 있는 무선 모션 캡처 솔루션으로 모코피 연동 기능은 프리즘 라이브 스튜디오에서 지원되는 모든 3D 아바타에 적용됩니다. 기본 제공되는 3D 아바타는 물론, 사용자가 외부에서 확보한 VRM 3D 아바타 모델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신 모션 추적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 라이브 스트리밍뿐만 아니라 프리즘 라이브 스튜디오의 'VIDEO 녹화 기능'을 이용한 VOD 콘텐츠 제작 시에도 소니 모코피 전신 추적 기능을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어 프리즘 라이브 스튜디오를 활용하는 버추얼 크리에이터의 활동 범위가 크게 확장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송유섭 프리즘 라이브 스튜디오 유니티 개발 책임은 "크리에이터 생태계의 성장은 곧 표현력의 확장과 직결된다"라며 "이번 모코피 연동은 복잡했던 전신 VTubing의 한계를 모바일 환경에서 타파해 크리에이터들의 공간 제약을 해소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프리즘 라이브 스튜디오는 앞으로도 네이버의 독자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모바일에서 활용 가능한 모션 추적 기능을 고도화하여 크리에이터들이 혁신적인 콘텐츠를 선보일 수 있는 환경을 다각도로 지원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라이브 스트리밍 앱 프리즘 라이브 스튜디오는 네이버의 미디어 기술력을 통해 모바일에서 손쉽게 3D 아바타 기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글로벌 사용자를 모으고 있습니다.
2019년 정식 출시된 프리즘 라이브 스튜디오 앱은 현재까지 누적 1억700만건 이상의 방송을 송출했으며 일 평균 약 15만건의 라이브가 생성됩니다. 전체 이용자의 약 90%가 해외 사용자이며 글로벌 동종 송출 앱 상위 20위 내에서 약 47%의 다운로드 점유율을 기록 중입니다.
국내 다운로드 점유율은 약 83%로 국내외에서 라이브 송출 앱 카테고리 1위를 유지하는 등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