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는 2025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6602억 원, 영업이익 7288억 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 4731억원, 영업이익 3902억원이 증가한 수치로, 창립 이래 최대 분기 실적입니다.
회사 측은 “1~4공장의 풀가동으로 인한 매출 기여 확대와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 증가, 우호적인 환율 효과 등이 실적 상승을 견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별도 기준으로도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3분기 별도기준 매출은 1조2575억 원, 영업이익은 63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04억원, 1889억원 증가했습니다. 신규 수주에 따른 기술이전과 5공장의 안정적인 램프업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자회사 삼성바이오에피스는 3분기 매출 4410억원, 영업이익 129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가 확대되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107억원, 영업이익은 611억원 늘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연결기준 및 별도기준 모두에서 올해 2분기 실적발표 당시 상향 조정한 연간 매출 성장 가이던스(25~30%)를 달성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3분기 말 기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연결기준 자산은 18조3373억원, 자본 12조1794억원, 부채 6조1579억원으로, 부채비율 50.6%, 차입금 비율 9.9%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10개월 만에 누적 수주 금액 5조2435억원을 달성해 지난해 연간 수주액(5조4035억 원)에 근접했습니다. 위탁개발(CDO) 사업에서도 글로벌 제약사를 포함한 8건의 신규 계약을 체결했으며, 창립 이후 누적 수주 총액은 200억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현재 글로벌 톱20 제약사 중 17곳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으며, 일본 톱10 제약·바이오 기업 중 4곳과 계약을 체결하고 1곳과 최종 협의 중입니다.
생산능력 확대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지난 4월 가동을 시작한 18만L 규모의 5공장을 포함해 총 78만4000L의 생산능력을 확보했으며, 오는 2032년까지 제2바이오캠퍼스에 3개 공장을 추가해 총 132만4000L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독자 기술력으로 개발한 혁신 제품과 평택 바이오플랜트의 제조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내 입지를 더욱 강화하겠다”며 “글로벌 스탠다드를 충족한 CDMO 경쟁력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iN The Scene] 이억원 금융위원장 코스피 4000 돌파 “새로운 도약 출발점”](https://www.inthenews.co.kr/data/cache/public/photos/20251044/art_17615676200702_514d97_120x9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