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박호식 기자ㅣ인공지능(AI) 산업의 급속한 성장 등으로 전세계 전력수요가 크게 늘어나며 전력 인프라 산업이 빠르게 성장할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이런 추세가 반영되며 미국과 한국의 전력 인프라 기업에 투자하는 삼성자산운용 ETF 2종의 순자산 총합이 상장 1년만에 8000억원을 넘어섰습니다.
국내 최초 미국 AI전력 ETF인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순자산은 501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국내 최초 한국 전력설비 대표기업에 투자하는 ‘KODEX AI전력핵심설비’ 순자산은 지난 7일 기준 순자산 3000억원을 돌파해 10일 3200억원까지 성장했습니다. 두 상품은 국내 자산운용업계 최초로 미국과 한국의 AI전력인프라에 투자하는 ETF로 지난해 7월9일 동시 상장됐습니다.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는 미국의 전력생산, 송배전망, 데이터센터 등 전력인프라 산업의 핵심 밸류체인 대표 기업 10개를 엄선해 집중투자하는 ETF 입니다. 포트폴리오에는 GE버노바, 콘스텔레이션에너지, 비스트라에너지, 이튼, 아리스타네트웍스, 트레인테크놀로지 등을 담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이 일상생활속에 확산되면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전력 수요가 급증했고, 이들 전력인프라 기업들의 주가는 고공행진하고 있습니다.
이에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는 지난해 7월9일 상장 이후 올해 7월9일까지 1년 수익률 48.6%를 기록했습니다. 같은기간 나스닥100 지수 대비 약 41.4%포인트, S&P500 지수 대비로는 40.9%포인트 초과 수익률을 올렸습니다. 상장 이후 1년만에 개인 누적 순매수 1200억원을 돌파했습니다.
삼성자산운용은 "이같은 인기몰이는 주요 연구기관들이 꾸준히 미국 전력산업 수요 전망치를 상향하는 덕분"이라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2035년까지 미국 데이터센터 전력소비 전망치를 지난해 2월엔 200TWh로 제시한 뒤 6월엔 400TWh로, 12월엔 900TWh로 꾸준히 상향 조정해왔다"고 전했습니다.
이와 관련 ETF가 담고 있는 대표 전력 기업들의 주가는 빠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ETF내 편입 비중 약 17%인 GE버노바는 전력 관련 사업부 실적전망을 지난 1년 동안 꾸준히 상향조정하면서 연초 대비 수익률이 63%에 이릅니다.
김천흥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등장하며 전력 수요와 AI 데이터센터 증가 추이에 대한 의문이 다소 존재했으나 그 이후에도 실질 수요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며 "투자자들이 의심을 거두고 있는 만큼 하반기에도 전력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국내 전력설비 대표기업에 투자하는 KODEX AI전력핵심설비는 상장 이후 1년만에 개인 누적순매수 1178억원을 기록하며 10일 기준 순자산이 327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연기금에서도 이달 들어 426억원을 매수하는 등 기관투자자들의 관심도 커지고 있습니다.
KODEX AI전력핵심설비 ETF는 ‘전력기기 빅3’ 기업으로 불리는 효성중공업, HD현대일렉트릭, LS일렉트릭을 약 60% 편입해 국내 전력설비 핵심 10여개 종목에 집중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AI데이터센터 건설이 늘어나며 이들 기업은 ‘역대급’ 실적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에 상반기에만 70.3%에 달하는 수익률을 올렸습니다.
하반기에도 ‘전기 먹는 하마’라고 불리는 AI데이터센터의 증가로 기술경쟁력과 생산경쟁력을 가진 국내 변압기와 전선기업에 대한 신규 수요가 늘어날 전망입니다. 올해초 유럽 정전 사태에서 보듯 전세계적으로 노후 전력설비 교체수요까지 늘고 있습니다.
이대환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전세계적으로 전력설비 신규수요와 교체수요가 맞물리면서 전력설비 슈퍼사이클이 지속될 것”이라며 “북미뿐 아니라 유럽에서도 영향력을 키우고 있어 하반기에도 KODEX AI전력핵심설비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