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코스닥 상장사 뉴로메카가 식음료(F&B), 의료 등 전문 분야로 영역 확대에 나설 전망이다. 각 분야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업체와 협력해 전문서비스용 로봇 개발에 나설 계획으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2013년 설립된 뉴로메카는 2022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사람과 물리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협동로봇 제조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유안타증권에 따르면 뉴로메카는 지난해 1월 교촌에프앤비와 협동로봇 기반 조리 자동화 솔루션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닭을 자동으로 튀길 수 있는 기기 개발을 진행 중이다.
권명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뉴로메카는 지난해 10월 교촌치킨의 전국 가맹점을 대상으로 로봇 조리 자동화 설명회를 개최했고 2024년부터 관련 매출 발생이 기대된다"며 "로봇도입을 통해 가맹점 수익성 개선이 확인될 경우 타 브랜드로 확산 속도가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해 4월에는 관절수술로봇 업체 큐렉소와 의료용 로봇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의료로봇의 조인트 모듈, 매니플레이터, 제어기 개발과 생산분야 협력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후 7월에 큐렉소와 90억원 규모의 수주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박장욱 대신증권 연구원은 "교촌치킨향 F&B 로봇 매출 증가에 따른 로봇 사업 매출 성장이 100억원 내외로 추정된다"며 "큐렉소향 공급계약 체결에 따른 90억원의 매출에 더해 대기업향 자동화 공정용 로봇 매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뉴로메카는 2022년 매출액 96억원, 영업손실 78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액과 영업손실은 각각 71억원, 86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적자가 늘어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성현동 KB증권 연구원은 "고객사 요구에 대응해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인건비 및 개발비가 증가했으나 고정비 부담을 상쇄할 정도의 외형 성장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실적 턴어라운드를 위해 매출처 확대와 함께 중장기 과제로 추진 중인 감속기, 모터 등의 핵심부품 내재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편, 뉴로메카 주가는 최근 변동성을 키우고 있다. 지난해 연말 3만원대를 유지하던 주가는 올해 들어 4만원 후반대까지 치솟았다가 현재 3만원 중후반대를 기록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