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지난 주중 2435.90까지 급락했던 코스피가 향후 반등에 접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단기 가격 메리트와 밸류에이션 매력은 두드러지고 외국인 선물, 프로그램 매물 압력은 정점을 통과했다는 분석이다.
22일 대신증권은 1~2월 중 코스피가 변동성을 수반한 반등에 나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단기 급락 이후 강한 반격을 모색해 나갈 것이란 전망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단기 가격메리트를 기반으로 실적, 수급 변화를 통해 업종별 순환매가 전개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1월말에서 2월초 코스피의 기술적 반등을 예상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주 후반부터 낙폭과대주가 코스피 반등을 주도했다. 실적과 수급이 불안하다고 평가받았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종이 두드러졌다. TSMC 실적 호조와 더불어 올해 연간 이익전망이 상향조정이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삼성전자는 주중 7만1000원까지 하락했다가 7만4000원대까지 회복했고, SK하이닉스도 13만1000원에서 14만1300원까지 반등했다.
대신증권은 반도체 이외에도 저평가된 업종으로 철강, 화학, IT가전, 에너지, 자동차, 보험, 건강관리, 건설·건축, 소매, 상사·자본재 등을 꼽았다.
이 연구원은 "증시 투자환경이 여전히 불안정함에 따라 업종·종목별 차별화가 뚜렷하다"며 "아직은 불안심리가 남아있어 당분간 단기 낙폭과대 업종과 실적, 이슈 등 긍정적인 변화가 기대되는 소수 종목만이 반등 중심에 자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급락을 야기했던 불확실성 변수들도 정점을 통과했다는 전망도 나왔다. 오는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는 금리동결이 기정사실화되고 있고 5월부터 금리 인하가 이뤄질 것이란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 디플레이션 우려는 지속되나 부양정책 드라이브와 재정확대 등 정책효과가 빛을 보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이에 올해 하반기 예상보다 견고한 중국 경기 모멘텀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다.
이 연구원은 "북한발 지정학적 리스크는 실질적인 금융시장 위협요인은 아니라고 판단한다"며 "3월 FOMC 전후, 2분기 중에는 주요국들의 경기 저점통과와 중국의 정책 기대가 동반 유입되면서 코스피를 비롯한 글로벌 증시의 추세반전에 힘이 실릴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