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김대웅 기자ㅣ국내 증시가 연초부터 가파른 하락세다. 미국 나스닥과 S&P500 지수, 일본 닛케이 지수가 우상향 흐름을 보이는 것과 정반대 양상이다 보니 소외감도 더해진다. 외국인 투자의 바로미터인 원화 가치도 빠르게 추락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크게 세 가지 이유를 꼽는다. 기업 실적 부진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지정학적 리스크마저 불거지며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다는 분석이다. 수출 등 국내 증시를 둘러싼 경제 환경도 녹록지 않다. 다만 일각에서는 여전히 펀더멘털(기초 체력)이 양호하다며 과도한 우려는 지양해야 한다는 진단도 나온다.
연초부터 연일 약세..기관 ‘패대기’ 수준
17일 정오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2.1% 급락하며 2450선을 무너뜨렸다. 올해 12거래일 중 10거래일이 하락세다. 지난 2일 2670선에 머물렀던 코스피는 순식간에 9% 가량 내려앉으며 연일 연중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다.
원화 가치도 급격히 하락하며 작년말 1290원대였던 원달러 환율이 1340원대로 치솟았다. 이달 들어서만 4.3% 가량 급상승한 것.
시장의 양대 축인 외국인과 기관도 매도에 나서고 있다. 특히 기관은 올 들어 연일 공격적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하루 1조원 이상 순매도를 기록하는 날도 나오고 있다. 외국인은 지난 11일 삼성전자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를 제외하면 매도 우위의 모습이다. 외국인은 선물 시장에서 집중적인 매도에 나서고 있다.
시가총액 1위주인 삼성전자는 최근 한달 내 고점 대비 두자릿수 하락률을 기록 중이다. 2차전지 핵심종목인 LG에너지솔루션과 LG화학, 삼성SDI는 52주 신저가를 경신했거나 그 부근에 머물고 있다.
경기·수출·실적 모두 ‘갸우뚱’
주요 요인으로는 크게 세 가지가 꼽힌다. 우선 기업들의 실적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국내 대기업들이 발표한 지난해 4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밑돌고 있다. 이는 향후 이익 수준에 대한 신뢰도를 낮추며 방어적 투자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조창민 유안타증권 퀀트 연구원은 "실적에 대한 실망감이 증시에 직접적으로 반영되고 있는 모습"이라며 "이익 전망치의 하향 조정 속도가 빨라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예컨대 1월 2주차 기준, 지난해 4분기와 올해 연간 영업이익 전망치는 -4.8%, -3.8% 하향 조정됐다는 설명이다.
시장 예상보다 부진한 4분기 실적 시즌이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상당수 기업들의 실적 전망이 재차 수정되고 있는 만큼 실적 전망에 대한 변화가 확대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최재원 키움증권 연구원은 "최근 1개월 동안의 이익 모멘텀을 살펴보면 지난 4분기 이익조정비율이 -4.44%를 기록했고, 올해 1분기와 2024년 이익조정비율은 각각 -1.86%, -12.06%를 기록 중"이라며 "올해 연간 기준 이익 모멘텀의 하향 조정 압력이 높은 점은 부담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이 와중에 지정학적 리스크도 불거지며 증시 하방 압력을 가중시키고 있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적대적 발언, 이란의 이스라엘 공습이 지정학적 리스크를 부각시키며" 외국인 매도를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김지현 키움증권 연구원은 나아가 "증시 조정의 실체는 지정학 리스크를 자극하는 요인들이 단기에, 최소 3월까지는 해소되기 어렵다는 불확실성에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 수출과 글로벌 경기 조정에 대한 우려도 더해지며 국내 증시의 발목을 잡고 있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수출 경기가 강한 반등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며 "연초 발표되고 있는 주요 교역국들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나 기업체감경기는 이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고 언급했다.
일각에서는 최근 우리 정부의 정책 기조 변화에 대한 우려의 시선도 내비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증권사 연구원은 "최근 외교 안보에 대한 정책 기조가 급격히 바뀌면서 예상치 못한 변수 발생과 함께 기업들의 수출입에도 영향을 줘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는 측면이 있다"고 꼬집었다.
실적우려 지속 VS 펀더멘털 양호
관심의 초점은 '미운 오리 새끼'로 전락한 우리 증시의 향후 움직임으로 쏠린다. 증시 전망에 대한 증권가의 시각은 엇갈리고 있다. 양호한 펀더멘털로 방어력이 강화된 만큼 조정 이후를 미리 고민해야 한다는 진단이 나온다. 반면 기업 경쟁력 약화로 실적 부진이 이어지면서 향후 반등 강도가 약할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 증시는 밸류 부담이 적고 이익 모멘텀이 양호해 금리만 달라지면 반등이 가능하다"며 "조정 이후의 시장을 주도할 업종은 이익 모멘텀이 양호한 IT 반도체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지난해 4분기 실적 부진이 올해까지 이어지며 증시를 짓누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조창민 연구원은 "전년도 4분기 실적 시즌이 부진할수록 당해년도 연간 전망치의 하향조정 폭도 큰 경향이 있다"며 "이익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상황에서 실적에 기반한 투자의 기대수익률은 낮을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