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현정부 들어 '이자장사' 논란과 '종노릇' 발언 등으로 잔뜩 움츠러들었던 은행권이 한숨 돌리게 됐습니다. 은행권 공동으로 21일 발표한 '민생금융' 지원방안에 대해 금융당국 수장들의 호평이 이어지면서 '합격점'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은행업권을 대변하는 은행연합회 회장 취임과 동시에 상생금융 숙제를 받아든 조용병 회장이 20개 사원은행별로 첨예하게 다른 이해관계를 성공적으로 조율하는 리더십을 발휘하면서 불과 3주 만에 2조원 규모의 민생금융지원안이 잡음없이 만들어질 수 있었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이날 은행연합회가 공개한 민생금융방안은 1조6000억원 규모의 개인사업자 대상 이자캐시백과 나머지 4000억원을 활용한 자율 프로그램으로 요약됩니다.
관건은 은행별 부담액입니다. 국책은행인 산업·수출입은행을 제외한 18개은행이 갹출해 총 2조원을 조성해야 하는 것입니다. 민생금융이라는 목적은 같지만 은행별로 규모와 형편은 천차만별이니 재원분담 셈법은 복잡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은행연합회가 제시한 배분기준은 '당기순이익'입니다. 은행 당기순이익이 크게 증가하면서 사회적책임 이행요구가 증대됐다는 점을 감안할 때 당기순이익을 배분기준으로 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판단한 것입니다.
정확한 금액은 은행별로 산출해 봐야겠지만 5대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기준 2000억~3000억원가량 부담해야 할 것으로 은행연합회는 추산합니다.
민생금융지원안이 빠른 시일내 마련됐다는 점도 이례적으로 받아들여집니다. 은행별 내부 숙의와 의사결정을 기초로 전체 은행권이 수긍하고 이행가능하며 금융당국이 흡족할 만한 방안을 도출하는데 3주라는 시간은 결코 길지 않아 보입니다.
은행연합회가 민생금융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TF를 구성한 게 지난 11월29일, 조용병 은행연합회장이 전임 김광수 회장의 바통을 이어받아 취임한 게 12월1일입니다. 그로부터 20여일 만에 20개 사원은행이 합의한 '2조원+α(정책금융프로그램)' 규모의 민생금융방안이 나온 것입니다.

은행권 한 인사는 "조용병 회장이 정식 취임하기 전 내정 당시부터 은행권 상생금융 마련 논의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취임 직후에는 일일이 은행장들을 만나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금융지주 회장까지 오르며 40년 가까이 은행업에 종사한 만큼 업권에 대한 이해가 높고 네트워크가 탄탄해 민생금융안이 큰 탈없이 매끄럽게 도출됐다고 본다"고 평가했습니다.
금융당국도 역대 최대 규모의 민생금융 지원안에 반색하고 있습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이날 은행회관에서 열린 민생금융 간담회에서 "총지원액 2조원은 지금까지 민생경제를 지원하기 위한 은행권의 사회적 기여에 있어 가장 큰 규모"라며 "은행권이 할 수 있는 최대치를 지원했다고 생각한다"고 호평했습니다.
이어 "은행권 자율협의에 의한 지원방안 마련이다보니 은행마다 경영여건이 달라 은행별 분담기준이나 지원방식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은행연합회를 중심으로 은행권이 중지를 모을 수 있었다는 것은 좋은 선례가 될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