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포스코이앤씨는 강교량 공사에 적용 가능한 '다층 용접 자동화 시공 기술'을 개발해 현장에 적용한다고 26일 밝혔습니다.
포스코이앤씨에 따르면, '다층 용접 자동화 시공 기술'은 포스코와 공동 개발한 기술로 전문 용접사가 아니더라도 손쉽게 두꺼운 강판을 다층 용접으로 맞붙이는 것이 가능토록 한 것이 특징입니다.
강판 종류와 두께, 용접 층에 따라 필요 전류, 전압, 용접 속도, 용접 형태를 결정하는 위빙(Weaving) 방법 등을 세부 조정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최적값에 따라 용접 장치가 자동으로 용접작업을 하게 되며, 용접사는 용접이 제대로 진행되는지에 대한 여부만 체크하면 된다고 포스코이앤씨 측은 설명했습니다.
이와 함께, 기술에 쓰이는 용접 장치는 다양한 구조물에서 작업하기 쉽도록 경량화했으며, 장치가 이동하는 레일을 모듈식으로 제작해 구조물 크기에 맞춰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포스코이앤씨는 기술을 통해 높거나 좁은 공간에서도 품질을 일관성있게 높일 수 있으며 작업 속도도 용접사 대비 약 50% 이상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 용접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인적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다층 용접 자동화 시공 기술'은 지난 9월 영종~청라 연결도로(제3연륙교) 건설공사의 강주탑 제작 공정에 시범 적용해 성능을 입증한 바 있으며, 화태-백야 도로 건설공사 등에서 구조물을 떠받치는 보와 강관말뚝 용접에도 적용할 예정입니다.
이 와에도, 레이저센서 및 AI를 활용한 자동 트래킹 기술과 용접 카메라 도입 등 로봇 기능을 고도화해 다양한 공사에 확대 적용할 계획입니다.
포스코이앤씨는 다층 자동용접 시공 기술 개발과 함께 강구조물의 정밀 시공을 위해 3차원 BIM과 로보틱 광파기를 활용한 구조물의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도 개발해 강교량, 초고층 건물 공사 품질을 향상시킨다는 방침입니다.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자동 용접 기술이 고도화되고 다양한 공사에 적용된다면 건설 업계 패러다임이 전환될 것"이라며 "지속적인 스마트 기술 개발과 공간을 향한 도전으로 세상에 가치를 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