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신한금융그룹(회장 진옥동)이 한국과 일본 양국 혁신 스타트업을 육성하기 위한 한·일 공동의 벤처투자펀드를 최초로 조성했습니다.
신한금융을 이끄는 수장이자 그룹에서 '일본통'으로 손꼽히는 진옥동 회장의 적극적 후방지원과 함께 대외적으로는 한·일 경제협력 해빙무드에 힘입어 지속가능한 양국 스타트업 생태계 육성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5일 신한금융에 따르면 전날 일본 도쿄도 미나토구 산업진흥센터에서 '신한·GB 퓨처플로우(FutureFlow) 펀드' 출범식이 열렸습니다. 이 펀드는 50억엔(450억원) 규모로 신한금융그룹 자회사 신한벤처투자와 일본 벤처캐피탈(VC) 기업 글로벌브레인(Global Brain)이 공동으로 운용합니다.
또 신한금융, KT재팬, 디캠프와 함께 일본에선 키라보시은행, 미즈호금융그룹, SBJ(신한은행 일본법인)가 주요 기관투자자(LP)로 참여합니다.
양사는 신한금융의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신한 퓨처스랩 재팬'과 글로벌브레인의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Xlimit'를 통해 인공지능(AI), 딥테크,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등 혁신기술과 글로벌 진출 역량을 갖춘 양국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하기로 했습니다.
신한 퓨처스랩은 신한금융의 대표적인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으로 2015년 시작돼 2016년 베트남, 2019년 인도네시아에 이어 2022년 11월 일본으로 진출하며 보폭을 넓혔습니다.

신한금융의 '일본통' 진옥동 회장은 올해 4월 그룹을 방문한 일본 공영방송 NHK 취재진과 면담에서 "신한금융은 '신한 퓨처스랩 일본'을 통해 국내 스타트업과 일본 벤처 생태계의 연결·확장을 돕고 양국이 함께 미래 산업을 주도하며 성장하는 민간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한 의지를 드러낸 바 있습니다.
한·일 양국 정책환경도 우호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한·일 정상간 셔틀외교 복원 흐름을 타고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지난 2~4일 일본을 방문해 8년만에 일본 금융청장과 면담하고 2016년 이후 중단된 양국 금융당국간 셔틀회의 재개에 합의한 것입니다.
김 위원장은 또 '신한·GB 퓨처플로우펀드' 출범식에 참석, "이번 펀드는 최초의 한·일 협력 스타트업 펀드로 민간 금융권에서 자발적으로 시작된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양국 금융협력의 좋은 사례"라면서 "향후 이런 협력 프로젝트가 은행·보험·자본시장·핀테크 등 더 많은 금융 분야로 확산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유리모토 야스히코 글로벌브레인 사장은 "그동안 두나무, 직방, 채널코퍼레이션 등 한국 스타트업에 큰 관심을 갖고 투자해 왔다"며 "300여개에 달하는 일본 대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해 양국 스타트업이 기업가정신을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돕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동현 신한벤처투자 사장은 "벤처캐피탈로서 한·일 양국에서 재개되고 있는 다양한 교류·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고민해 왔다"며 "양국이 최초로 함께 진행하는 사업인 만큼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스타트업 발굴과 투자에 힘쓰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