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올해 청약 계획이 있는 수요자들은 '관심 단지의 분양 진행'을 주요 이유로 꼽았습니다.
15일, 직방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108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하반기 청약 계획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 725명 중 39.7%가 '관심 단지가 분양을 진행해서'를 주요 이유로 선택했습니다.
이어 분양가가 계속 오를 것 같아서(21.8%), 청약, 분양 조건이 이전보다 완화돼서(21.4%), 기존 아파트 매매가격이 조금씩 오르는 것 같아서(10.9%)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청약 시 가장 걱정되는 점을 물어보는 질문에는 '금리 인상으로 인한 이자 부담 증가'가 35.0%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낮은 청약 가점 및 높은 경쟁률 등으로 인한 낮은 당첨 확률(26.1%), 원자재 및 고물가 등에 따른 분양가 상승(25.5%) 등의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올해 이미 청약을 진행했거나 하반기에 청약 계획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청약에 관심있는 주택 유형으로 민간분양주택(42.1%)을 가장 많이 선택한 것으로 나왔습니다. 구분하지 않고 다 보고 있다(27.6%), 공공분양주택(뉴:홈)(12.1%), 무순위 및 잔여세대 아파트(11.0%), 공공임대주택(4.4%), 민간임대주택(2.3%)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지역을 선택할 시에는 '현 주거지, 생활권 주변'(52.8%)에 많은 응답자가 몰렸습니다. 이어 개발호재나 투자유망 지역(14.2%), 교통 및 자족기능 지역(14.1%), 수도권3기 신도시(7.3%), 가족 및 지인 거주지 주변(4.3%),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단지나 주변(4.3%) 등 순이었습니다.
선호하는 청약 면적은 '전용 60㎡ 초과~85㎡ 이하'가 40.1%로 가장 많았으며, 전용 85㎡ 초과~102㎡ 이하(38.8%), 전용 102㎡ 초과~135㎡ 이하(11.4%), 전용 60㎡ 이하(7.7%), 전용 135㎡ 초과(1.9%)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연령대별로는 20~30대의 경우 '전용 60㎡ 초과~85㎡ 이하', 40대 이상은 '전용 85㎡ 초과~102㎡ 이하'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외에 올해 청약 계획이 없다고 답한 358명의 경우 '분양가가 너무 비싸서'가 33.5%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미 주택이 있어서(31.0%), 관심 지역에 적합한 분양 아파트가 없어서(11.5%), 아파트 청약 당첨 확률이 낮아서(10.1%) 등이 뒤를 이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규제지역과 전매제한이 완화되면서 신규 분양을 기다렸던 수요자들이 움직이고 희망 지역에서 분양하는 아파트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며 "대·내외적인 요인으로 건축자재 가격 인상 등에 따라 분양가가 꾸준히 오르고 있어 '지금이 제일 싸다'라는 인식도 겹치며 올해 청약을 계획하는 수요자들의 주 이유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함 랩장은 "청약 분위기에 편승한 청약 계획보다는 입지, 분양가 등을 꼼꼼히 따져보고 자금 여력에 맞는 청약 전략을 세우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