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포스코퓨처엠(구 포스코케미칼)[003670]은 ESG 경영 전략 등을 담은 기업시민보고서를 발간했다고 8일 밝혔습니다.
포스코퓨처엠에 따르면, 이번에 발간한 보고서에는 친환경 미래소재 기업으로 책임을 수행하기 위한 회사의 경영 전략과 성과를 담았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환경 부문에서는 전 세계적 기후위기에 대응하고자 오는 2050년까지 배터리소재, 내화물, 라임케미칼 등 전체 사업군을 대상으로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강조했습니다. 포스코퓨처엠은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고자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친환경 관리체계 구축, 재생에너지 확대, 저탄소 연료 전환 등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 후 이행 중입니다.
지난해에는 양·음극재에 대한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획득했으며, 원료 채굴부터 생산, 사용 및 폐기 등 전체 제품 주기에 대한 환경 영향을 점검하는 관리체계를 구축하기도 했습니다.
세종 음극재 공장에는 태양광 발전설비를 추가로 설치하고 전력구매계약(PPA),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구매를 확대하며 지난해 재생에너지 사용량을 2021년 대비 27% 높였습니다. 올해 3월에는 포항 소성 내화물 공장의 연료를 기존 중유 대신 탄소 배출량이 적은 액화천연가스(LNG)로 교체했습니다.
사회적 책임 부문에서는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위한 활동에 대한 내용을 수록했습니다. 포스코퓨처엠은 공급사 ESG 역량 강화를 위한 컨설팅을 제공하고, 사회적 기업 및 녹색인증 기업 등을 중심으로 공급망을 강화한 바 있습니다. 양·음극재 원료는 인권침해 등의 문제가 없다고 인증받은 책임광물을 활용했습니다.
지배구조 부문에서는 지난해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및 감사위원회를 신설하며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높인 부분과 포스코퓨처엠의 정보보안 경영시스템이 국제표준화기구 ISO 27001 인증을 받으며 배터리소재 핵심기술 보호를 위한 보안·관리체계를 구축한 내용 등을 제시했습니다.
이와 더불어, 환경경영, 생물다양성, 안전보건경영, 윤리경영 등 총 17개 주제로 구성된 정책집을 통해 포스코퓨처엠이 ESG 경영을 위해 실천해야 하는 세부 지침을 정리했습니다.
김준형 포스코퓨처엠 사장은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바탕으로 친환경 소재기업으로서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기업시민 경영이념을 기반으로 ESG 경영을 강화해 기업가치를 제고하고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포스코퓨처엠 기업시민보고서 작성에 있어 기후변화 재무 정보공개 협의체(TCFD)의 공시 권고안을 준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글로벌 기준인 GRI 스탠다드를 준수하고 지속가능성 회계기준위원회(SASB)의 가이드라인을 적용했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