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하반기 리오프닝 수혜 업종의 광고 집행과 BTL 마케팅 재개에 따라 광고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애플, 구글의 프라이버시 정책 강화에도 디지털 광고 예산은 줄어들지 않을 것이고 시장 성장세는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10일 NH투자증권은 코로나19 기간 광고 집행이 부재했던 여행, 영화 등 리오프닝 수혜 업종들의 광고 집행이 재개되면서 KAI(광고경기전망지수)가 지속적으로 100을 상회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광고비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할 것이라고 여기는 광고주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전했다.
이화정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광고 사업자 전반이 안정적으로 실적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며 “디지털 광고 매출 성장세는 둔화됐음에도 광고 산업 밸류 체인 전체를 위협할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고 설명했다.
NH투자증권은 지난 1분기 디지털 광고 플랫폼 빅3(구글, 메타, 아마존)의 디지털 광고 매출 성장세가 둔화됐다고 전했다. 여기에 프라이버시 정책 강화로 타깃 광고가 어려워지면서 광고 단가도 하락했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원은 “최근 조사에 따르면, iOS 정책 변화에 대응해 광고주의 마케팅 예산이 감소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21%에 불과했다”며 “대부분 개인 정보 보호 강화 트렌드는 마케팅 예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광고 경기 회복세에 따라 전 분야의 고른 외형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인건비 효율성까지 높아지고 있는 제일기획을 최선호주로 제시한다”며 “디지털 애드테크 역량 강화를 바탕으로 중장기적 성장을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