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롯데가 신성장동력으로 밝힌 바이오 의약품 사업에 향후 10년간 약 2조5000억원을 투자합니다. 롯데지주 산하에 자회사 ‘롯데바이오로직스’를 이달 말 신설하고 2030년 글로벌 톱 10 바이오 CDMO(위탁개발생산) 기업을 목표로 합니다.
16일 롯데에 따르면 항체 의약품 시장에 진출합니다. 롯데지주는 지난 13일 이사회를 열고 미국 시러큐스시에 위치한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BMS)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공장 인수를 의결했습니다. 총 1억6000만달러(약 2000억원)규모로, 최소 약 2800억원 규모 바이오 의약품 위탁 생산 계약도 포함됐습니다.
신동빈 롯데 회장은 이사회에서 "BMS 시러큐스 공장의 우수한 시설과 풍부한 인적자원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며 "지속적인 투자를 바탕으로 롯데와 시너지를 만들어 바이오 CDMO 시장에서 빠르게 자리잡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420명의 시러큐스 공장 인력들은 64개국 이상의 GMP(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승인을 통해 대량 생산 시스템에서도 의약품 품질을 유지하는 기술 역량을 갖췄다는 설명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기술이전, 시험생산, 규제 기관 허가 등 항체 의약품 사업을 빠르게 추진할 전망입니다.
시러큐스 공장에서는 총 3만5000리터 항체 의약품 원액(DS) 생산이 가능합니다. 신규 제품 수주 및 공정 개발 등 역량 강화를 위해 항체 의약품 CDMO 사업 확장은 물론, 완제의약품(DP)과 세포·유전자 치료제 생산이 가능한 시설로 전환합니다. 북미 지역 판매 영업을 위한 미국 법인 설립도 계획 중입니다.
이원직 롯데지주 신성장2팀장은 "시러큐스 공장은 임상 및 상업 생산 경험이 풍부한 공장으로 진입장벽이 높은 바이오 산업에서 롯데가 성과를 낼 수 있는 최적의 매물로 판단했다"며 "사업 초기 항체 의약품 CDMO 집중을 통해 바이오 사업자로서 역량을 입증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전세계 바이오 의약품 시장은 2020년 3400억달러에서 2026년 6220억달러(약 797조원)로 연 12%이상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롯데가 진출하는 항체 의약품 시장은 바이오 의약품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꾸준한 신약 개발이 이어지고 있는 주력 시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