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코로나19 팬데믹 이후 0.5%까지 내려갔던 기준금리가 지난 1월 코로나 이전 수준인 1.25%로 인상된데 이어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도 높습니다. 이에 따라 주식·펀드 등으로 몰렸던 투자자들이 은행 예적금을 비롯한 안전자산으로 자금을 분산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청년희망적금에 적극적으로 호응했던 2030세대도 은행 예적금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소득과세기준 등이 맞지 않아 청년희망적금 가입을 놓친 청년들이 대안으로 고금리 예적금 상품 가입에 눈을 돌린 것입니다.
한국은행이 지난 10일 발표한 ‘2022년 2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2월중 은행 수신금액이 25조7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준금리가 인상 기조를 유지하며 주식시장에서 은행 예‧적금과 같은 안전자산으로 자금이 이동했다는 설명입니다.
은행업계에서는 시중에 유입된 자금을 유치하기 위해 여러 고금리 상품을 내놓고 있습니다. 하지만 광고에 적힌 ‘최고 금리’만 보고 가입했다가 우대금리 달성 조건이 까다로워 기대한 금리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금융사들은 2030세대 청년들이 복잡한 조건을 충족하지 않아도 상대적으로 고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상품을 내놓고 잠재 또는 신규고객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디지털 접근성 살려 ‘비대면 가입’ 메리트
NH농협은행이 지난 2일 출시한 ‘NH 더 행복한 동행예금’은 만기해지 조건만 채우면 12개월 만기 연 2.05% 금리를 제공합니다. 해당 상품은 다음달 30일까지 3000억원 한도로 판매되며 농협 인터넷·스마트뱅킹을 통해 1인당 300만원부터 가입할 수 있습니다. 특히 비대면으로 가입하면 최대 한도가 영업점 가입의 2배인 2000만원으로 늘어나 인터넷뱅킹에 익숙한 2030세대에게 유리한 상품입니다.
금융사들은 예적금 상품 중에서도 비대면으로 가입하면 금리나 한도에서 유리한 상품을 내놓고 있습니다.
우리은행의 적금 중 최고 기본금리 상품은 모바일 전용 ‘우리 WON 적금(12개월 만기 연 2.4%)’입니다. 반면 창구 가입 상품 중 기본금리가 가장 높은 ‘스무살 우리 정기적금’은 12개월 만기 연 2.1%의 기본금리로, 0.3%p 낮습니다.
창구가 없는 인터넷은행인 토스뱅크는 최대 한도 1억원까지 연 2% 이자를 지급하는 수시입출금 통장을 제공합니다. 토스뱅크 통장은 매일 남은 잔액을 기준으로 이자가 쌓여 복리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케이뱅크는 지난 17일 ‘코드K정기예금’의 금리를 5000억원 한도 소진시까지 0.4%p 인상한다고 밝혔습니다. 기존의 연 2.1% 금리를 연 2.5%로 올린 것입니다. 카드이용·급여이체 등의 조건없이 코드K정기예금에 가입한 고객은 모두 연 2.5% 금리를 받습니다.

소액적금 활용한 ‘풍차돌리기 재테크' 눈길
최근 2030세대에서는 금리 상승기 예적금 상품을 활용한 ‘풍차돌리기’가 유행하고 있습니다. 풍차돌리기는 매월 각기 다른 1년짜리 예적금 상품에 가입해 통장마다 조금씩 돈을 납입하며 차례차례 목돈을 모으는 전략입니다.
가입한 상품에 월 10만원씩 1년간 예치한다면 열두번째 달에는 적금통장이 12개, 월 납입 금액은 120만원이 됩니다. 이후 13개월차에는 처음 가입했던 적금 만기가 돌아와 매달 원금 120만원과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재예치 시에 이전보다 오른 금리가 적용되고, 1년마다 이자를 결산해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어 금리 상승기에 적합한 재테크 전략이라는 평가입니다.
카카오뱅크의 ‘26주 적금’은 1000원·2000원·3000원·5000원·1만원 가운데 하나를 첫째주 납입금액으로 선택하고 매주 그 금액만큼 6개월(26주)간 적금을 넣는 상품입니다.
OK저축은행이 지난달 15일 출시한 ‘100만원 만들기 적금’은 매월 8만2000원씩 12개월 동안 납입하면 최대금리를 적용해 세후 100만원을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기본금리는 연 2.6%이며 OK저축은행 입출금통장에서 6회 이상 자동이체하면 1%p의 우대금리를 받습니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12월 ‘챌린지박스’ 적금을 출시했습니다. 해당 상품은 유럽 여행·나에게 명품지갑 선물하기·가족모임 소고기 쏘기 등의 목표를 정하고 목표 달성에 필요한 1만~500만원의 금액을 설정해 30~200일 동안 매주 자유롭게 돈을 넣는 방식입니다. 기본금리 연 1.5%에 목표일까지 매주 약속한 돈을 넣으면 우대금리 1.0%p를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