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mpany 기업

현대차, 완성차는 거들 뿐…로보틱스+메타버스 ‘메타모빌리티’로 전환

URL복사

Wednesday, January 05, 2022, 16:01:35

정의선 현대차 회장 'CES 2022'에서 지향점 밝혀
'이동 경험의 영역을 확장하다' 주제로 발표
완성차 산업 너머 새로운 산업 생태계 주도 야심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현대자동차[005380]가 자동차 제조업을 넘어 궁극적인 이동의 자유를 실현하는 기업을 목표로 제시했습니다. 이를 위해 로보틱스와 메타버스가 결합된 ‘메타모빌리티(Metamobility)’를 구현할 방침입니다.

 

현대차는 4일(현지시간) CES 2022가 열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 센터에서 ‘이동 경험의 영역을 확장하다(expandinghuman reach)’를 주제로 언론발표회를 열었습니다.

 

발표에 나선 정의선 현대차 회장은 “로보틱스를 기반으로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을 ‘메타모빌리티’로 확장하고 이를 위해 한계 없는 도전을 이어가겠다”며 “현대차의 로보틱스 비전이 인류의 무한한 이동과 진보를 가능하게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현대차는 이 과정에서 인공지능(AI), 자율주행 기술 등의 혁신으로 미래 모빌리티 간 경계가 파괴되고 자동차, UAM 등 다양한 모빌리티가 궁극에는 메타버스 플랫폼에 접속하는 기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정 회장은 “자동차가 가상 공간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로 변모하고 사용자는 자동차 안에 구현되는 실제 같은 가상 공간 속에서 다양한 경험(in-car experience)을 할 수 있다”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동차는 엔터테인먼트 공간이 되기도 하고 업무를 위한 회의실이 되기도 하며 심지어는 3D 비디오 게임을 즐기기 위한 플랫폼으로 변신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함께 현실 세계의 기계나 장비, 사물 등을 컴퓨터 속 가상 세계에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통해 로봇을 포함한 모든 기기와 장비들을 동기화한 후, 사용자가 가상 공간에 접속해 실제 공장을 운용,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도 가능하다고 전망했습니다.

 

정 회장은 로보틱스 기술을 통해 모든 사물에 이동성이 부여된 MoT(Mobility of Things) 생태계를 실현하기 위한 플러그 앤 드라이브 모듈(Plug &Drive Module, 이하 PnD 모듈), 드라이브 앤 리프트 모듈(Drive & Lift Module, 이하 DnL모듈) 등도 소개했습니다.

 

현대차가 CES 2022에서 최초로 공개하는 PnD 모듈은 인휠(in-wheel) 모터와 스티어링, 서스펜션, 브레이크 시스템 및 환경인지 센서를 하나로 결합한 일체형 모빌리티입니다.

 

라이다와 카메라 센서를 바탕으로 지능형 스티어링·주행·제동이 가능하고 특히 연속적인 360° 회전은 물론 자유로운 움직임을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PnD 모듈은 어떤 사물에든 부착해 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특히 작은 테이블에서부터 커다란 컨테이너에 이르기까지 범위의 제한이 없습니다. 크기와 개수를 자유자재로 조절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현대차는 PnD 모듈이 사물의 이동성을 새롭게 정의하고 전통적인 공간의 개념을 혁신하는 한편 ▲라스트 마일 실현을 위한 PBV(Purpose Built Vehicle) 형태의 퍼스널 모빌리티 ▲물류 운송을 위한 로지스틱스 모빌리티 등 일상 전반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현대차는 신개념 소형 모빌리티 플랫폼 ‘모베드(MobED, Mobile Eccentric Droid)’를 통해 DnL 모듈의 상용화 가능성도 제시했습니다.

 

DnL 모듈은 각 휠이 독립적으로 기능하며, 각 휠에 장착된 모터가 몸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돼 원하는 기울기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모베드는 납작한 직육면체 모양의 몸체에 DnL 모듈 기반의 네 개의 바퀴가 달려 요철, 계단, 경사로 등에서 몸체를 수평으로 유지하고 휠베이스와 조향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현대차는 PnD 모듈, DnL 모듈처럼 MoT’ 생태계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신개념 로보틱스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가겠다는 구상입니다.

 

 

정 회장은 “현대차는 로보틱스를 통해 위대한 성취를 이루고자 한다”며 “메타모빌리티가 제시하는 새로운 미래상의 실현을 위해 로보틱스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한편 현대차는 5일부터 7일까지 올해 CES 2022 기간 동안 약 1300㎥(약 372평) 규모의 공간을 마련하고 ‘미래 로보틱스 비전’을 주제로 한 다양한 전시물을 선 보입니다.

 

‘리얼리티 존(Reality Zone)’에서는 ▲퍼스널 모빌리티, 서비스 모빌리티, 로지스틱스 모빌리티, L7 등 PnD 모듈을 기반으로 하는 4종의 콘셉트 모델과 ▲DnL 모듈이 적용된 소형 모빌리티 플랫폼 모베드(MobED) 등 로보틱스 기반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전시합니다.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서비스 로봇 스팟(Spot), 인간형 로봇 아틀라스(Atlas) 등 2종의 로봇 실물도 함께 관람객들을 맞이합니다.

 

일 3회, 약 20분에 걸쳐 전시관 중앙 무대에서는 관람객들에게 로보틱스 비전을 소개하고 ▲스팟의 움직임을 역동적으로 보여주는 ‘스팟 댄스 퍼포먼스’ ▲퍼스널 모빌리티, L7, 모베드 작동 시연으로 구성되는 ‘로보틱스 퍼포먼스’도 진행합니다.

 

관람객들이 개인화된 아바타를 만들어 가상 공간에서 함께 소통하는 특별한 체험을 할 수 있는 ‘메타버스 존(Metaverse Zone)’도 운영합니다.

 

▶Hyundai and finished cars are the only ones there... Robotics + Metaverse Transition to 'Meta Mobility'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김용운 기자 lucky@inthenews.co.kr

배너

“KB의 ESG금융 33.2조…지속가능경영이 곧 밸류업”

“KB의 ESG금융 33.2조…지속가능경영이 곧 밸류업”

2025.06.30 16:48:02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은 2024년말 기준 ESG 상품·투자·대출이 누적 33조2000억원(환경분야 19조2000억원) 규모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습니다. 이날 발간된 '2024 KB금융그룹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보면 KB금융의 '지속가능금융 체계'는 금융상품·서비스 전반에 ESG를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자금조달부터 상품·투자·대출까지 모든 과정에서 기후변화 대응, 지역사회 발전, 투명경영 등 다양한 분야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KB금융은 친환경·녹색금융을 확대하고 탄소중립 전환을 가속화하고자 'KB Green Wave 2030' 전략을 추진중이며 2030년까지 ESG 상품·투자·대출 규모를 총 50조원(환경분야 25조원)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KB금융은 지속가능경영과 밸류업의 선순환 네트워크 구축에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투명한 지배구조, 윤리경영, 리스크관리, 지속가능한 금융, 기후위기 대응, 친환경 경영이 곧 주주환원 강화, 지배구조 개선, 주주·이해관계자와 소통강화, 사회적 가치 제고, 자본비율 관리, 본원적 펀더멘털 강화로 이어져 종국에는 기업가치 제고를 이룬다는 것입니다. 특히 재무건전성을 판단하는 핵심지표 보통주자본(CET1)비율은 2024년 설정한 목표(13% 이상)를 상회하는 13.53%를 달성했습니다. 업계 최고 수준입니다. 보통주자본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등 회사의 핵심자본으로 구성되며 CET1비율이 높을수록 향후 주주환원, 신규투자, 사업확장 등 여력이 높다고 평가됩니다. KB금융은 지난해 10월 '지속가능한 밸류업(Value-up) 방안'을 발표하며 국내 최초로 CET1비율과 주주환원을 연계한 '밸류업 프레임워크'를 도입한 바 있습니다. 주주환원의 지속가능성과 예측가능성을 제고했다는 점에서 시장에서 호평받았습니다. 양종희 KB금융 회장은 "금융은 단순한 자금중개를 넘어 개인의 삶과 기업의 미래, 나아가 사회 전체의 지속가능성을 연결하는 중요한 기반"이라고 정의했습니다. 그러면서 "KB금융그룹은 국민과 함께 성장하고 공존하는 금융을 실천하며 다음 세대에 더 나은 환경과 기회를 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