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코로나19 여파 속에서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상향 조정됐습니다.
OECD는 21일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에서 한국이 올해 4.0%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지난 5월 경제전망에서 제시한 3.8%보다 0.2%포인트 올린 수치입니다.
OECD 전망치는 국제통화기금(IMF·4.3%), 정부(4.2%)보다는 낮지만 한국은행(4.0%), 아시아개발은행(ADB·4.0%)과 같습니다.
OECD는 내년 한국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2.8%보다 0.1%포인트 상향한 2.9%로 정정했습니다. OECD가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을 모두 올린 국가는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한국과 아르헨티나, 멕시코, 스페인 등 4개 국가 밖에 없습니다.
OECD는 향후 방역 조치 완화 등에 따라 한국 경제 성장세가 지속해서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OECD는 G20 수정 물가 전망도 발표했습니다. OECD는 전 세계적 인플레이션 상황을 반영해 일본, 중국 등 일부 아시아 국가를 제외하고 대부분 국가의 물가 전망을 상향 조정했습니다.
G20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올해 3.7%, 내년 3.9%로 기존 전망보다 각각 0.2%포인트, 0.5%포인트 올랐습니다.
올해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기존보다 0.4%포인트 높인 2.2%였습니다. 내년 전망치도 기존보다 0.4%포인트 올려 1.8%를 제시했습니다.
OECD는 통상 물가 전망을 5월과 11월에만 발표하지만 최근 인플레이션 우려를 고려해 이번에 이례적으로 수정 전망을 발표했습니다.
OECD는 "각국의 정책적 노력과 백신 접종 등에 따라 경제 회복세가 지속중이지만 회복 모멘텀은 다소 둔화했다"며 "델타 변이는 빠른 속도로 확산 중이고 백신 접종률에 따라 국가별 경제적 영향이 상이하다"고 평가했습니다.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국가별 경기 상황 등을 고려해 적극적인 거시정책을 지속해야 한다"며 "통화정책은 명확한 포워드 가이던스(선제안내) 아래 완화적 기조를 유지하고, 재정정책은 높은 불확실성을 고려해 성급한 조기 정책 전환은 지양하고 경기 상황 등에 따라 유연하게 운용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OECD는 "바이러스의 통제를 위해 전세계적으로 신속하게 백신을 보급하는 것이 중요하다"며"경제 복원력 제고, 지속가능하고 공정한 성장을 위해 공공 투자와 구조 개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기획재정부는 "OECD가 한국 경제의 빠르고 강한 회복세, 1분기와 2분기 성장률 잠정치가 속보치보다 0.1%포인트씩 오르는 등 예상을 뛰어넘는 성과를 보인 점을 고려해 성장률 전망을 상향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어 "최근 델타변이 확산 영향을 감안하여 미국을 비롯한 주요선진국, 전세계‧G20 등 전반적인 성장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며 "선진국 중에서는 우리나라와 프랑스‧이태리 등 일부 유럽국가만 성장전망을 상향했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