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시중에서 판매되는 짜장라면과 비빔라면의 평균 나트륨 함량이 일일 기준치의 6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포화지방은 높은 반면 탄수화물, 단백질 등 필수 영양분은 부족해 과잉섭취 시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라면 중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짜장·비빔라면 15개 제품에 대해 ▲안전성 ▲품질 ▲특성(영양성분, 맛·면 특성) ▲표시 적합성 등을 시험·평가한 결과를 3일 발표했습니다.
시험 결과 짜장·비빔라면의 평균 포화지방 함량은 1일 영양성분 기준치(15g)의 53%, 나트륨(2000㎎)은 61%로 높았습니다. 특히 한 번에 짜장·비빔라면 두 개를 먹을 경우 1일 기준치를 초과한 포화지방과 나트륨을 섭취할 수 있다고 소비자원은 우려를 전했습니다.
조사에서 1일 영양성분 기준치 대비 나트륨은 평균 61%(1227㎎)에서 최대 82%(1647㎎)까지, 포화지방은 평균 53%(8g)에서 최대 73%(11g)까지 섭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험대상 제품 중에는 오뚜기 ‘진비빔면’의 나트륨 함량(1647㎎)이 가장 많았습니다. 열량(652㎉)과 포화지방(11g) 수치도 높았습니다. 특히 포화지방과 나트륨은 각각 1일 영양성분 기준치의 73%, 82%를 기록했습니다.
GS리테일의 ‘NEW공화춘자장면’의 포화지방(10g)과 나트륨(1337㎎)은 1일 영양성분 기준치의 67%를 기록해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팔도의 ‘일품삼성짜장’은 나트륨(1042㎎) 함량이 가장 적었습니다.
안정성 부문에서는 모든 제품이 문제가 없었습니다. 보존료는 조사 대상 제품에서 문제가 없었고, 이물과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소비자원은 일부 제품에 대해 나트륨 함량 및 온라인 제품 정보 표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제품 개별 가격은 짜장라면이 400원~1300원, 비빔라면은 745원~760원, 볶음라면은 840원~1245원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PB(자체 브랜드)제품이 포함된 짜장라면에서는 최대 3.3배의 가격 차이가 났습니다.
소비자원은 “일반 라면과 달리 짜장·비빔라면은 소비자가 국물 섭취량을 조절할 수 없다”며 “포화지방과 나트륨 섭취량을 줄일 수 있도록 사업자의 자율적인 저감화 노력이 더욱 중요하다”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