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안정호 기자ㅣ한화에어로스페이스(대표 신현우)가 드론택시 등 신개념 항공교통수단으로 활용될 미래형 개인 비행체(PAV, Personal Air Vehicle)의 핵심 구동장치인 ‘전기식 작동기’ 개발에 나섭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의 ‘차세대 운송수단용 고신뢰 전기식 작동기(EMA) 개발’사업을 수주 했다고 14일 밝혔습니다. 4년간 총사업비 184억원 규모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오는 2024년까지 개발을 완료할 계획입니다. 회사는 이를 위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비롯해 한국기계연구원, 항공대 및 국내 중소기업들과 산학연 컨소시엄 구성을 마쳤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국형 전투기 ‘KF-21 보라매’의 유압식 작동기와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II)의 전기식 작동기 제작으로 축적된 독자적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최근 미국의 세계적인 항공사 보잉(Boeing)으로부터 ‘최우수 협력사 프로그램(Premier Bidder Program)’ 참여 업체로 선정됐다고 밝혔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친환경·고효율이라는 트렌드에 따라 기존 항공기에 적용되던 유압식 구동장치 대신 전기식 구동장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며 “앞으로 글로벌 전기식 작동기 시장은 2025년 약 3조원 규모에서 2035년에는 약11조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특히 PAV용 전기식 작동기는 실제 사람을 태우고 이동하는 비행체의 핵심 구성품인 만큼 높은 수준의 신뢰성이 요구된다”며 “아직 국내에는 유인 항공기 플랫폼이 없어 개발을 수행한 업체가 없고 세계에서도 일부 업체만이 시험생산을 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국내 업체 최초로 PAV용 고신뢰도 전기식 작동기 개발에 성공할 경우,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 본격 진출해 민간항공기용 시장까지도 진입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또한 회사는 최근 주목 받고 있는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의 다양한 플랫폼용 전기구동장치로 확대해 PAV용 핵심 구동시스템 글로벌 전문 업체로 성장한다는 계획입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해까지 약 9000대 이상의 엔진을 누적 생산해 온 가스터빈 엔진 제조기업이며 지난 2019년 한화로부터 항공기계사업을 인수하며 항공사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국내 위성 전문업체인 쎄트렉아이의 지분 인수 등 국내외 우주산업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