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승재 기자ㅣLG유플러스의 드론이 국내 최초 화재를 찾아내는 기기로 인정받았습니다.
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는 2일 ‘U+스마트드론’을 통한 AI 화재감지 서비스가 국제공인시험기관 ‘방재시험연구원’의 검증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U+스마트드론은 기체에 이동통신 및 원격제어 기능을 탑재해 비가시권 원격관제와 실시간 영상전송을 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수동 조작을 하는 일반 레저용 드론과 달리 정해진 경로로 비행하며, 5G·LTE 통신이 가능해 제어 거리에 제한이 없습니다. 촬영되는 영상은 SD카드가 아닌 서버에 저장되기 때문에 PC와 모바일을 통해 실시간 다중 시청이 가능합니다.
AI 화재감지는 여기에 Edge 기반의 AI 영상 분석 엔진과 열화상 카메라가 더해진 임무형 드론 서비스입니다. 원거리 AI 화재감지 기술로 불꽃과 연기를 먼저 감지하고, 객체 Flickering 판별 기술을 통해 정확도를 더욱 높입니다.
이어 열화상 카메라의 실시간 온도 스캔 기술로 실 온도를 측정해 스스로 화재 여부를 판단합니다. 영상 감지에만 의존하던 기존 서비스 대비 오탐률이 대폭 감소돼 99.9% 이상에 달하는 높은 화재 검출률을 보였습니다.
예컨대, 드론이 주행 중 AI 기반의 RGB(Red-Green-Blue) 분석을 통해 감지된 영역의 픽셀이 주변 대비 100도씨 이상 차이가 나는 색상으로 판단하면 현장을 주목합니다.
이 중 불꽃 색상 계열의 일몰·일출·자동차 불빛·유리벽 색 반사나 바람에 흔들리는 붉은 천의 경우 2차 감지 단계인 열화상 카메라 판별에서 화재가 아닌 것으로 걸러집니다.
U+스마트드론은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감시 지역 내의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판별해 알림을 제공합니다. AI 엔진의 화재 감지하고 열화상 카메라의 온도를 측정하고 화재 지역 사진 촬영 및 전송 등을 빠르게 수행하는 것입니다.
이로써 U+스마트드론은 약 3분 만에 총 면적 2만4000㎡(7260평)의 탐지가 가능합니다. 축구장 크기 3배 이상의 공간을 짧은 시간 내에 전수조사 하는 셈입니다.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담당은 “국제공인시험기관을 통해 U+스마트드론의 화재 예방 역할을 공인받게 돼 기쁘다”며 “그간 치안 확보, 군사작전 수행, 해양 사고 방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됀 것처럼 화재 예방 영역에서도 유용하게 쓸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방재시험연구원은 1986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민간 방재시험연구기관입니다. 1995년 국내 최초로 화재안전분야 국제공인시험기관(KOLAS)으로 인정받으며, 현재 400여 종의 첨단 시험연구 장비와 전문인력을 활용해 종합적인 방재서비스를 제공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