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강서영 기자ㅣ한미약품(대표 권세창)은 미국 암학회 (AACR)에서 항암 혁신신약 5종의 주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3일 밝혔습니다.
이번에 발표된 신약은 ▲벨바라페닙 (HM95573·GDC5573·흑색종 등) ▲HM43239(FLT·SYK 이중저해제·급성골수성백혈병) ▲HM97662(EZH1·2 이중저해제·혈액암 및 고형암) ▲HM87277(ADOR 길항제·면역항암) △HM97346(LSD1 저해제·소세포폐암 등) 등입니다.
먼저 벨바라페닙은 세포 내 신호전달을 매개하는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을 억제하는 경구용 표적 항암제입니다. 이번 발표에 따르면 벨바라페닙은 변이(BRAF·NRAS) 흑색종 모델에서 우수한 효능을 나타냈습니다. 또한 약물 혈관-뇌 장벽(BBB)에 높은 투과도를 나타내며 뇌전이 흑색종 모델에서 대조군 대비 우수한 종양 성장 억제 및 생존 기간 연장의 치료 효과가 확인됐습니다.
아울러 이번 학회에서 발표된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HM43239)는 급성골수성백혈병을 유발하는 FLT3(FMS-like tyrosine kinase) 돌연변이와 SYK(비장 티로신 키나아제)를 이중 억제하는 혁신신약 후보물질입니다. 한미약품은 HM43239의 작용 메커니즘과 강력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한 전임상 결과를 발표하고 기존 치료제에 의한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악성 림프종과 같은 혈액암은 물론 다양한 고형암을 유발하는 효소(EZH2·EZH1)를 동시에 저해하는 후보물질(HM97662)의 전임상 결과 또한 이번 학회에서 공개됐습니다. HM97662는 EZH2와 EZH1을 동시에 저해함으로써 EZH2 단일 기전 항암제 대비 강한 효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내성 극복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미약품은 새로운 기전의 항암 혁신신약과 면역항암제 등 신규 개발에 착수한 항암신약 2종도 함께 공개했습니다.
먼저 아데노신 삼중 길항 면역항암제인 HM87277은 전임상 연구를 통해 신체 면역체계의 주축을 이루는 T 세포 활동 증가와 암 세포 증식·혈관 신생·전이에 관여하는 신호 전달 억제 효과를 보여줬습니다. 또 동물모델에서 HM87277과 면역관문억제제 병용 투여 시 탁월한 항암효과를 보였습니다.
이와 함께 한미약품은 LSD1 저해제인 HM97346을 통해 미충족 수요가 큰 소세포폐암과 급성골수성백혈병의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습니다.
LSD1 억제는 소세포폐암이나 급성골수성백혈병 등에서 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한미약품은 이번 연구에서 HM97346에 의한 급성골수성백혈병 종양세포의 사멸 유도와 백혈병 분화 마커인 CD86 발현 증가를 확인했습니다.
권세창 한미약품 사장은 “이번 AACR에서 발표된 항암 분야 혁신 파이프라인은 한미약품의 미래가치를 밝게 하고 한미의 강력한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