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안정호 기자ㅣ대한항공(대표 조원태)이 현지시각으로 지난 25일 오후 5시30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을 출발해 26일 오후 12시10분 인천공항을 통해 도착한 KE9926편(A330 기종)을 통해 화이자(Pfizer) 코로나19 백신을 수송했다고 26일 밝혔습니다.
대한항공을 통해 국내에 들여온 화이자 백신은 11만7000 도즈로 5만 8500명분입니다.
이번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수송은 대한항공 뿐만 아니라 국토교통부, 질병관리청, 세관, 군경, 물류업체 유피에스(UPS)까지 완벽한 협업 체계를 토대로 이뤄졌습니다.
대한항공은 전문적 특수화물 운송 노하우를 토대로, 21개의 백신 수송 전용박스에 나눠 포장된 화이자 코로나19 백신을 자사의 백신전용 특수 컨테이너에 탑재해 안전하게 수송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국토교통부의 선제적 지원과 대한항공의 협업이 빛을 발했습니다.
냉동수송에 사용되는 드라이아이스의 경우 항공기 대당 탑재되는 양이 엄격히 제한됩니다. 화이자 코로나19 백신의 경우 초저온 수송을 위해 많은 양의 드라이아이스가 필요합니다. 이에 국토교통부와 대한항공은 항공기 제작사 기술자료를 검토해 기종별 드라이아이스 탑재기준을 사전에 조정했습니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9월부터 코로나19 백신 전담 태스크포스 팀을 운영하며, 코로나19 백신 수송 준비에 만전을 기해왔습니다. 특히 백신 제조사별로 수송 조건이 영하 60℃ 이하의 초저온, 영하 20℃ 이하의 냉동, 2~8℃의 냉장 유지 등 차이점을 감안해 다양한 맞춤 서비스 제공을 위한 콜드체인 강화 및 시설 장비 보강 등에 집중했습니다.
또한 대한항공은 지난 3일 문재인 대통령 참관 하에 진행된 코로나 백신 수송 합동 모의훈련을 비롯해, 다양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수차례 모의훈련도 성공적으로 수행했습니다.
이와 같은 노력을 토대로 지난 16일 글로벌 공급망, 특수화물 수송 역량, 의약품 수송 전문성 등을 높이 평가받아 유엔 산하 국제구호단체 유니세프와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 코로나19 백신 글로벌 수송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한 바 있습니다.
아울러 지난해 12월 8일에는 국내에서 생산된 코로나19 백신 원료를 영하 60℃ 이하의 상태로 암스테르담까지 성공적으로 수송하는 등 수차례 초저온 냉동 백신 원료를 유럽 및 일본으로 수송해왔습니다.
또한 지난 2월 24일 국내에서 생산된 코로나19 백신 완제품을 태국과 베트남으로 국내 최초로 수송하기도 했습니다.
대한항공은 국내 대표 국적항공사로서 코로나19 백신의 안전한 수송을 위해 전사적 역량을 투입한다는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