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Stock 증권

[코스피 마감] 코로나19 안도감에 상승...2240대 회복

URL복사

Friday, February 14, 2020, 16:02:13

인더뉴스 김현우 기자ㅣ 코스피가 소폭 상승 마감했다. 중국 내 코로나19 환자 급증에 대한 우려가 줄어든 모습이다.

 

14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0.63포인트(0.48%)가 올라 2243.59에 거래를 마쳤다.

 

서상영 키움증권 투자전략팀장은 “WHO(세계보건기구)가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에 대해 발병 패턴에 큰 변화가 없다고 주장한 데 힘입어 상승했다”며 “미국 상무부가 화웨이에 대한 거래제한 유예 조치를 연장한다고 발표한 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했다.

 

WHO는 13일(현지시간) 중국에서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했지만 대부분 환자에 대한 진단 또는 보고 방식의 변화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상무부는 자국기업과 화웨이 간 거래제한 유예 조치를 45일간 연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수급적으로는 외국인이 홀로 936억원 가량의 주식을 사들이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기관과 개인은 각 1086억원, 10억원을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하락 우위 흐름을 나타냈다. 은행, 건설업, 섬유의복 등이 1% 이상 빠진 것을 비롯해 운수창고, 비금속광물, 금융업, 전기가스업, 기계, 화학, 통신업 등이 하락세였다. 반면 전기전자, 의료정밀, 서비스업 등이 1% 이상 올랐고 제조업, 의약품, 운수장비 등이 오름세였다.

 

시가총액 상위 10개사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소폭 하락한 것을 제외하고 모두 빨간불을 켰다. 특히 SK하이닉스, 삼성전자우는 2% 이상 강세고 삼성전자, NAVER, 셀트리온은 1% 이상 상승률을 보였다.

 

이날 거래량은 5억 8899만주, 거래대금은 6조 1330억원 가량을 기록했다. 상한가 2개를 포함해 333종목이 상승했고 하한가 없이 490종목이 하락했다. 보합에 머무른 종목은 80개였다.

 

한편 코스닥은 1.30포인트(0.19%)가 올라 688.91을 기록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김현우 기자 sapience@inthenews.co.kr

배너

‘지방은 줄이고, 근육은 늘리고’…한미약품, 혁신신약 개발 도전

‘지방은 줄이고, 근육은 늘리고’…한미약품, 혁신신약 개발 도전

2025.10.01 15:17:27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한미약품이 세계 최초로 근육 증가와 지방 감량을 동시에 구현하는 비만 혁신 신약의 글로벌 임상 진입을 공식화했습니다. 한미약품은 지난달 말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HM17321’의 임상 1상 진입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신청했다고 1일 밝혔습니다. 성인 건강인을 대상으로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약력학 특성을 평가할 예정입니다. HM17321은 한미약품이 독자 개발한 플랫폼 기술 ‘오라스커버리(Orascovery)’를 기반으로 한 신약 후보물질인데요. 기존 인크레틴(GLP-1) 계열이 아닌 CRF2(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2) 수용체를 타깃하는 UCN2 유사체입니다. 지방 감소와 근육 증가를 동시에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GLP-1 약물이 가진 근 손실 한계를 극복할 신약으로 개발될 수 있을지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한미약품은 지난해 미국비만학회(ObesityWeek 2024)에서 HM17321의 비임상 효능을 최초로 공개한 이후, 미국당뇨병학회(ADA 2025)와 유럽당뇨병학회(EASD 2025) 등에서 영장류 연구 및 기전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근거를 쌓아왔습니다. 특히 EASD에서는 HM17321이 웨이트 트레이닝과 유사한 기전으로 정상적 근 성장을 유도한다는 점을 입증했다는 게 회사의 설명입니다. 회사에 따르면 HM17321은 단독 요법뿐 아니라 기존 인크레틴 계열과의 병용 시에도 체중 감량 효능이 강화되는 점이 확인됐습니다. 펩타이드 기반 제형으로 투여 편의성이 높고, 인크레틴 약물과 동시 투약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꼽힙니다. 한미약품은 HM17321의 상용화 목표 시점을 2031년으로 설정하고 임상 개발에 속도를 낼 계획입니다. 현재 개발 중인 삼중작용제 HM15275(2030년 상용화 목표), 에페글레나타이드(내년 국내 허가 목표)와 함께 비만 신약 파이프라인 ‘H.O.P (Hanmi Obesity Pipeline)’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을 전망입니다. 최인영 한미약품 R&D센터장은 “HM17321은 지방 감량과 근육 증가, 대사 기능 개선을 동시에 구현하는 혁신적 비만 치료제”라며 “고령층 비만, 근감소증 등 미충족 수요에 대응해 글로벌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배너